콘텐츠목차

독도의 강치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A02080001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경래

독도에는 강치(물개과)가 많았다. 사람이 배를 타고 독도에 오르면 수백 마리의 강치가 사람을 반기면서 아양을 떨었다. 그런데, 이 귀여운 강치를 일본 사람들은 몽둥이로 콧등을 때려서 잡았다. 이 가죽으로 안경집, 가죽신 등을 만들었으며, 그 기름은 항해할 때 불을 켜는 연료로 사용했다. 강치의 남획으로 세계적으로도 희귀종이 되어버렸고, 독도에서도 볼 수 없게 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일본인의 독도강치 포획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독도 물개바위 위의 강치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독도강치 새끼 박제

「일본 시마네현 강치홍보자료」, 2005

명치(明治)38년(1905년) 8월, 당시의 마츠나가[松永] 시마네현(島根縣) 지사가 다케시마 시찰을 하였습니다. 그 때, 다케시마에서 포획된 일본강치의 새끼 세 마리를 가져갔던 것이 현립 산페이[三甁]자연관의 조사를 통해서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은, 평성(平成)4년(1992년)에 산페이자연관에서 실시한 「일본강치展」준비 중에 알게 된 사실인데, 당시의 신문기사를 통해서 지사가 가져간 일본강치가, 현청내의 못에서 잠깐 동안 사육되었던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약해진 탓에 수산시험장 분장(分場)이 있는 마츠에시[松江市] 가고시마초[鹿島町]로 이송되어 처치를 받고, 결국에는 죽어서 박제가 되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후 이 세 마리의 박제의 행방이 묘연해졌습니다.

평성5년(1993년)에, 어떤 계기로 현립 이즈모[出雲]고교에 일본강치로 생각되는 박제가 있다는 정보를 얻고 산페이자연관이 조사를 한 결과, 지사가 가져간 세 마리 가운데 한 마리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후, 평성6년(1994년)에는 현립 타이샤[大社]고교에서 두 마리째가, 평성10년에(1998년)는 현립 마츠에기타[松江北]고교에서 세 마리째가 발견되어, 결과적으로 이 세 마리의 박제가 시마네현청 내에 남아있다는 것이 밝혀지게 된 것입니다.

올해는, 세 마리의 일본강치가 죽은 지 꼭 100년째가 됩니다. 그래서 다케시마의 날 제정기념의 일환으로 기획된 전시가 각 고교의 협력을 받아 이루어짐으로써 100년 만의 재회가 실현되기에 이른 것입니다.

독도강치는, 캘리포니아강치, 갈라파고스강치와 함께 세계에서 3아종(亞種)으로 알려진 강치의 1아종으로, 옛날에는 일본의 연안에 폭넓게 서식하고 있었습니다. 강치섬 등, 각지에 남아 있는 강치와 관련된 섬의 이름에서도 그러한 사실들을 알 수 있습니다.

동해 인근에 서식하고 있던 독도강치도, 수렵이나 서식환경의 악화 등에 의해 점차 그 자취를 감추고, 마지막으로 남은 곳이 시마네현이었습니다. 최후의 번식지가 독도로서, 1만 마리 이상이 서식하고 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러나 명치37년(1904년)부터 시작된 피혁이나 기름의 채집을 위해 행해진 강치남획으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습니다. 많았던 해는 3천 마리 이상의 일본강치가 포살되어, 명치41년(1911년)까지 8년간 포획된 강치의 총수는, 1만 4천 마리나 되었습니다. 마츠나가 지사가 다케시마에 건너갔던 것은, 다케시마에서 일본강치사냥이 시작된 지 2년째로, 강치포획이 최고조에 이른 때였습니다.

마지막 번식지였던 독도에 서식하고 있던 일본강치의 숫자도, 포획의 영향으로 해마다 감소하여, 결국은 지구상으로부터 그 모습을 감추고 만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시마네(島根) 레드데이터북에도 ‘절멸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일본강치의 박제는, 네덜란드의 라이덴박물관에 시볼트가 가져간 것이 3체(體), 영국 대영박물관에 1체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으며, 일본 국내에는 박제표본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러나 평성3년(1991년) 이루어진 북큐슈(北九州) 자연사박물관의 조사에 의해 시마네 대학에 박제표본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그 후, 돗토리[島取] 대학의 이노우에[井上] 교수와 산페이 자연관 등의 조사에 의해서, 일본 국내에는 모두10체의 강치 박제표본이 남아 있으며, 그 가운데 7체가 시마네현 내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 밖에 현 내에는 수복된 박제의 형태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것으로 인정하기 어렵긴 하지만 독도강치의 새끼로 추측되는 표본도 1체가 있습니다.

이번 전시를 예정하고 있는 세 마리의 일본강치의 박제는, 세계에서 14체밖에 남아 있지 않은 가운데 3체인만큼 대단히 귀중한 것입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