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00488
한자 鬱島記
영어음역 Uldogi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보고서|기행문
관련인물 우용정(禹用鼎)
저자 우용정(禹用鼎)
저술연도/일시 1900년(고종 37) 6월연표보기
간행연도/일시 1904년(고종 41)연표보기
책수 1책
표제 鬱島記
소장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

[정의]

1900년(고종 37) 6월 우용정이 저술한 울릉도 조사 보고서.

[편찬/발간 경위]

우용정(禹用鼎)이 울릉도 시찰위원으로 임명된 후, 1900년 5월 25일 인천항을 향해 출발하여, 5월 27일에 일본 경부 1명을 태우고 인천을 출발, 부산항에 도착해서 5월 30일 감리서주사 김면수와 부산해관 세무사 라포트(E. Raporte, 羅保得) 및 봉판 김성원(金聲遠)과 일본 부영사보 아카쓰카 쇼스케[赤塚正助] 및 대한제국 보호 순검 2인 등과 함께 창용환(蒼龍丸)에 탑승하여 5월 31일 오후 울릉도 도동항에 도착하였다.

우용정은 6월 1일부터 5일간 세무사 라포트의 입회 아래 일본 부영사보 아카쓰카 쇼스케 등과 연달아 회동하면서 울릉도의 사정을 조사하였다. 우용정은 이때 짧은 조사 기간 중에도 각 동의 민인 대표들을 초청하여 울릉도 상황을 질문하고, 일본인들의 잠입 실태를 조사하였다. 6월 6일 오전 10시에 울릉도 도감의 장부를 검사한 후 기선에 올라 부산으로 향하였다. 이후 서울로 귀환하여 내부대신 이건하(李乾夏)에게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1904년(고종 40)에 간행되었다.

[형태]

한자로 쓰여졌으며,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는 ‘鬱島記’이다.

[구성/내용]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단락은 우산국이 신라 지증왕 때 신라에 편입된 사실과 조선왕조에 들어와 임진왜란 때에 삼척정씨 일족이 피난 간 사실, 숙종 때 울릉도에 몰래 들어온 김환(金丸) 등 70여 명을 쇄출(刷出)한 사실, 그 후 월송만호(越松萬戶)가 삼 년에 한 번씩 수토(搜討)하는 제도를 시행했음을 간단히 적어 도입 부분을 기록하였다.

1882년(고종 19) 이규원(李奎遠)을 개척사로 임명하여 울릉도에 몰래 들어온 일본인 1,500명을 철수시켰다고 썼지만, 이것은 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이규원은 검찰사로 울릉도를 실지 조사해 왔고, 정착 개척사는 김옥균(金玉均)이었는데, 1900년 당시 김옥균이 ‘역적’으로 낙인되어 있었기에 고의로 빼서 모호하게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울릉도에 몰래 들어왔던 일본인이 1,500명이라는 숫자도 과장된 것이다. 이 단락의 말미에는 울릉도 개척 초기에 쥐의 피해가 극심했으며, 도장(島長) 서경수(徐敬秀)의 보고에 응해 중앙정부가 삼척·울진·평해 세 고을의 환곡을 보내어 이주민을 구휼했다는 사실과 근자에 일본인들의 불법 밀입도(密入島) 및 나무를 몰래 베어 가는 일 등의 행패를 내부대신 이건하가 염려하여 한·일 합동 조사를 실행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둘째 단락은 우용정 일행의 조사단이 1900년 5월 31일 울릉도에 도착하여 6월 5일까지 활동한 조사 내역을 요약하여 기록한 것이다. 6월 1일부터 우용정과 일본 부영사보가 합동으로 조사를 시작했고, 세무사 라포트는 곁에서 함께 입회하였다. 6월 3일에는 일본인과 도감(島監)을 조사하여 캐물었는데 진술이 서로 달랐다. 대체로 일본인들은 불법 밀입도를 했기 때문에 거짓말을 하며 소행을 변명하여 더 조사할 필요가 없었다.

6월 4일에는 합동으로 기선을 타고 섬 전체를 순찰했는데, 기선을 멈추고 육지에 내린 곳은 천부동의 우선포, 현포동, 태하동의 세 개 동이었다. 태하동에는 관사(官舍) 8칸이 있었다. 이후, 동민이 알아듣도록 타이르고 급히 도동으로 돌아왔다. 6월 5일에는 울릉도 각 동의 백성들이 진정서를 올려 여러 가지 사연을 호소하는데 좌우에서 호응이 열렬하였다. 그러나 기선의 석탄도 거의 소진되었기에 섬의 백성들이 만류하였지만 급히 돌아왔다.

셋째 단락에서 우용정 일행은 6월 6일 오전 10시에 울릉도 도감의 장부를 검사한 후 급히 기선에 올라 부산으로 향하였다. 5일 동안 머물면서 조사한 바로는 대체로 울릉도의 전체 길이가 70리[약 27㎞], 너비는 40리[약 15㎞], 둘레는 145리[약 56㎞]이고, 1882~1883년의 울릉도 재개척 이후 당시까지 주민은 약 400가구에 1,700명이었다.

개간한 토지는 밭이 약 700여 두락[약 231,406㎡]이며, 땅은 기름진 편이어서 대맥·소맥·황두·고구마 등이 잘 되며, 면화·삼베·지류(紙類) 등도 섬 안에서 충분히 생산 공급되고 있었다. 이후 흉년이 들 때 학조(鶴鳥)와 명이초(茗夷草)라는 것이 있어서 기아의 염려가 없다고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에 우용정은 울릉도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에 경탄하면서 이를 감상할 여유도 없이 급히 귀환하게 된 것을 아쉬워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울도기』는 1882년 울릉도 개척 이후 보고된 공식 기록으로서 울릉도의 물산, 일본인의 실태, 해운, 행정 실태, 조세 문제, 일본인 납세 문제, 등장(진정서) 등을 기록한 종합 보고서이다. 우용정은 1900년 6월 15일에 돌아와 보고서를 제출하고, 일본인의 조속한 철수와 울릉도 관제의 개편을 건의하였다.

그 결과 같은 해 10월 27일 칙령 제41호[10월 25일 제정]를 반포하여 울릉도를 울도(鬱島)로 개칭하고, 도감을 군수(郡守)로 바꿈으로써, 강원도의 27번째 군으로 지방 관제에 편입시켰다. 이는 우용정의 울릉도 보고에 기초하여 제정된 것이다. 그러나 『울도기』우용정이 울릉도를 시찰하고 난 후 개인적으로 작성한 기행문의 성격이 강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