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김씨 김담(金譚), 아들 김경황(金景滉)·김경시(金景時) 형제, 손자 김한(金垾) 등 삼세사효자의 행실을 기록한 글. 김담, 김경황·김경시, 김한 등은 강릉김씨로 3대에 걸쳐 4명의 효자였다. 이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삼세사효자(三世四孝子)의 행실을 기록하여 정려각에 걸었다. 송시열이 관동지역을 유람하면서 강릉에서 삼세사효자의 효행을...
-
강릉명륜서원(明倫書院)의 중수 사실을 기술한 기문. 강릉명륜서원은 일명 향현사이다. 향현사(鄕賢祠)는 강릉향교 내 화부산 기슭에 있는 사우로 강릉 출신 12명의 향현을 배향한 곳이다. 1990년 강릉 향현사를 중수하면서 최덕철(崔德澈)이 작성하였다. 화부산 기슭에 위치한 강릉 향현사의 자연 환경, 연혁 그리고 중수 사실을 기술하였다. 특히 중수 시...
-
조선 중기 난설헌 허초희가 1570년에 지은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 허난설헌은 여덟 살의 어린 나이에 지었다고 믿기 힘든 이 상량문을 짓고 여 신동이라 칭송되었다. 이것은 목판본 『난설헌집』에 유일하게 전하는 산문으로 그의 아우 허균이 1605년 충천각에서 석봉 한호에게 부탁하여 그의 글씨로 써서 1차로 간행되었다. 이 목판본은 1606년 우리나라에 왔던 중국 사신...
-
1935년 강릉향교의 교제(校制)를 정비하면서 작성한 기문. 1935년 강릉향교 직원(直員)[현재의 전교(典校)] 박원동(朴元東) 등이 다른 지역 향교를 방문하고서 교제(校制) 즉 위패의 봉안, 석전제 봉행, 제복(祭服) 및 제기(祭器)의 준비와 보관 등에 관한 일들을 살펴본 후 강릉향교에 이를 적용하면서 그 사실을 기록하였다. 「교제수비기(校制修備記)」에는 강릉향교의...
-
강릉시 저동 소재 금란정(金蘭亭) 건립 내력을 적은 기문. 금란정은 금란반월회(金蘭半月會)의 계회 모임 장소로 활용되는 정자로 경포대 북쪽 호숫가에 있다. 「금란정실기(金蘭亭實記)」는 계원 심철한(沈哲漢)이 작성한 것으로 이 정자의 매입과 중수 내용을 한문으로 적어 정자에 걸어놓았다. 크기는 가로 77㎝. 세로 31㎝이고 나무로 만든 현판이다. 옛날 백연당(百...
-
17세기 초 강릉 지방 재지사족들이 풍속을 준수하기 위한 만든 조항. 조선중기의 강릉 지역에서 지방의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향리의 풍속을 바로잡고 유교적 윤리규범의 확산과 진작을 위해 노력하였는데, 그 일환으로 구체적 절목을 명시한 금문(禁文)을 작성하였다. 정경세는 1614년(광해군 6) 강릉부사로 재직하면서 「통유문급절목(通諭文及節目)」을 발표하였다. 강릉부의 혼인...
-
철이나 청동 등 쇠붙이나 석재(石材)에 기록한 글씨나 그림. 금석문이란 고대의 역사나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보통 금속에 새겨진 문자와 돌에 새겨진 문자를 말하지만, 더 넓은 의미로는 나무에 새겨진 문자나 토기에 기록한 토기 명문(銘文), 직물에 쓴 포기(布記), 고분의 벽에 붓글씨로 기록한 묵서명(墨書銘), 칠기(漆器)에 기록한 묵서, 기와나 전돌의 명문(銘文) 등을...
-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소재 금선정(琴仙亭)에 걸려 있는 기문. 금선정은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하곡(下谷)에 위치하며, 삼일계원(三一契員)들이 1972년 8월 15일에 건립하였다. 금선정의 이름은 정자 바로 위쪽에 선인당(仙人堂)이라 명명된 바위의 전설에서 유래한다. 삼일계는 왕산면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의해 1963년에 형성되었다. 삼일계를 만든 것은 광복과 한...
-
강릉시 연곡면 행정리에 있던 강릉김씨의 정려각을 강릉시 대전동 선영 인근으로 이건한 사실을 기록한 기문. 절부 강릉김씨의 열녀각은 원래 강릉시 연곡면 행정리에 있었다. 그런데 세월이 오래되어 마모가 심해지고 또 도로 개설로 인해 이건이 불가피하였다. 이에 족인들은 이건을 논의하여 선영에 있는 강릉시 대전동 소재 문토 인근 대로변에 정려각을 이건하고 그 이건 사실을 정리하...
-
김주원의 능향(陵享)을 봉전(奉奠)하는 능향전의 창건기문. 강릉김씨대종회 회장이며 국회의원인 김문기가 능향전 창건을 기념하여 그 의미와 경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담아 지었다. 능향전의 개념, 김주원의 분봉과 그 후손의 동향, 능향의 문제점과 능향전의 필요성, 능향전 창건의 의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주군왕인 김주원이 강릉에 온 지 1205년의...
-
강릉향교의 부속 건물인 대성전 보수에 대한 기록. 대성전은 공자의 위패를 모시는 전각으로서 문묘의 정전이다. 강릉향교의 대성전은 1957년 중수를 하였는데, 당시 유도회장인 김봉진(金鳳振), 당시 장의인 박연동(朴涓東), 당시 총무를 보았던 조강현(曺康鉉)·최돈우(崔燉愚) 등이 합심하여 완수하였다. 그간의 중수 과정을 기록한 「대성전중수기」는 당시 강릉 문묘의 전교였던...
-
매월당 김시습의 사당에 첨배한 사람들의 이름을 적은 기문. 매월당 김시습의 일생, 이이를 비롯한 사림들의 흠모, 김시습의 영정 모사와 봉안, 첨배록 서두 기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동이라 불려지던 김시습은 스물한 살에 삼각산에서 공부하던 중에 노산손위(魯山遜位; 왕위 계승 이전에 노산군이었던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억지로 넘겨준 사건)의 소식을 듣고 통...
-
매월당 김시습을 모시는 영당의 창건에 관한 기록. 매월당 김시습의 일생, 영당의 창건경위, 영당전례(影堂奠禮)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릴 때부터 신동으로 불려지던 동방의 현인(賢人) 김시습은 탁절지사(卓節之士)로 절개로 이름난 중국의 백이(伯夷)의 기풍이 있었으며 문장 역시 뛰어나 열성(列聖)으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이에 후손인 김종림(金宗霖)이 명주군왕의...
-
매월당 김시습의 영정 봉안에 관한 기문. 매월당 김시습의 일생, 중종, 선조, 숙종, 정조의 매월당에 대한 충절과 학식 기림, 영정 모사와 봉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동이라 불려지던 김시습은 21세에 삼각산에서 공부하던 중에 단종손위(端宗遜位)의 소식을 듣고 평생 충절을 지키면서 『금오신화』 등 수많은 문적(文籍)을 남겼다. 이에 선조는 율곡 이이에게 「김...
-
공자를 모시는 문묘의 중수에 관한 기록. 옛 문묘와 지금의 문묘를 비교하며 반성하고, 강당과 재랑(齋廊) 중수, 공자의 도를 존숭하여 백성들을 교화시키고자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릉에 향학이 들어 온 지 5백여 년이 지났는데, 낡은 문묘의 모습을 바라보고 이택규(李宅珪)가 옛날의 위엄이 있는 모습과 지금의 초라한 모습을 비교하며 중수를 호소하였다. 급...
-
우복(愚伏) 정경세[1563-1633]가 세운 강릉향교 권학비를 1933년 재건립하면서 작성한 기문. 조선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우복 정경세가 학문의 권면과 교육의 진흥을 위해 세운 권학비문이 낡고 오래되어 소멸되어가는 것을 일제 강점기에 강릉 지역의 유림들이 뜻을 모아 새로이 제작하여 세웠다. 1932년 가을 최재하(崔在河) 등이 우복 정경세가 세운 권학흥교비(勸學興敎...
-
삼가 박수량 전사청인 오사재(五思齋)를 중수한 사실을 기록한 글.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 소재 전사청인 오사재는 1931년 족인들에 의해 중수되었으며, 현재까지 전사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졌고, 주위는 토담이 둘러져 있다. 재실 중앙과 우측은 마루바닥이며, 좌측은 온돌이 설치된 방으로 만들어졌다. 내부에는 현판,...
-
강릉시 저동 경포 호반에 있는 상영정(觴詠亭)의 건립 내력과 중수 사실을 기록한 기문. 상영정(觴詠亭)은 1886년(고종 23) 향유(鄕儒) 16인이 합심하여 만든 상영계 계원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현재는 경포대 동쪽의 호수를 향한 산록에 건립되었으며, 금란정과 인접해 있다. 그러나 당초에는 오봉산(五峯山)과 영귀암(詠歸岩)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1908년(순...
-
효자 김담(金譚)의 행적과 효행을 찬(撰)한 서문(序文). 「서김효자행실(序金孝子行實)」은 원래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이 지어 현판에 새겨 걸었는데, 훼손되자 1933년 13세손 김익성(金益成)이 다시 새겨 걸었다. 현판은 가로 96㎝, 세로 29㎝이다. 봉래 양사언이 김담의 효행을 칭찬하고 영원히 기리기 위해 서술하였다. 김효자의 효행을 먼저 기록한 후...
-
1827년(순조 27) 최용필(崔龍弼)이 돌아가신 어머니의 일대기를 정리한 글. 행장이란 죽은 사람의 행실을 간명하게 써서, 보는 이로 하여금 죽은 사람을 직접 보는 것처럼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사명이 있다. 최용필은 어머니 사망 직후 과거에 합격하자,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흠모의 정으로 이 행장을 집필하였다. 어머니의 일대기와 필자의 의견을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
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李珥)가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행적을 기록한 글. 선비란 남에게 세상을 떠난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이고, 행장이란 사람이 죽은 다음에 그의 일생의 행적을 적은 글이다. 신사임당은 1551년 5월 17일에 4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이때 이이의 나이는 열여섯 살이었다. 신사임당이 세상을 뜨자 어머니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이이가 쓴 글이 「선비행장(先...
-
강릉향교(江陵鄕校) 대성전(大聖殿) 서까래, 제기고(祭器庫), 취반소(炊飯所)의 중수 내력을 적은 기문 1864년(고종 4) 강릉향교 도유사(都有司) 유난(柳暖), 이선화(李璿和), 이윤홍(李允鴻), 손동학(孫東學) 등이 대성전을 비롯한 부속건물이 오래되어 훼손되고 비가 새자 이를 중수하면서 그 중수과정을 적었다. 중수 사유, 중수를 위한 향교에서의 논의 내용, 중수 담...
-
송담서원 직실(直室)에 대한 내력을 적은 기문. 다례 준비와 유생들의 강학을 위한 장소로 직실이 건립되었으나 1950년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이를 안타까워 하던 차에 박용규(朴容圭)·최벽규(崔璧圭) 등이 직실을 비롯한 서원 건물을 지킨 사실을 1953년 김영기(金永起)가 기록하였다. 서원의 건물 중에는 직실이 있는 까닭과 의미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즉...
-
강릉김씨 평의공파 종중 소유의 숭덕재 건립 내력과 중수 사실을 적은 기문. 숭덕재(崇德齋)는 일명 두호미재(豆乎彌齋)로 강릉김씨 평의공파(評議公派)의 파조(派祖)인 김지(金輊)를 모신 곳으로 1564년에 건립되었다. 1564년 김지의 후손들이 숭조애친사상(崇祖愛親思想)을 고취하고 종친화합(宗親和合)을 도모하며, 종토(宗土)에서 생산되는 도조(賭租) 및 기타 수...
-
명주군왕 전사청인 숭의재와 태종무열왕을 추모하기 위한 숭렬전(崇烈殿)의 창건과 중수의 내용이 담긴 기문. 1818년 유학 김성일(金聲鎰)과 진사 김학무(金學娬)가 쓴 「사촌재사중수기(沙村齋舍重修記)」, 1823년 후손 김계급(金啓汲)이 쓴 「재방중수기(齋房重修記)」, 1871년 교삼(敎三) 김병락(金秉洛)과 김연학(金演翯)이 쓴 「재사중수기(齋舍重修記)」, 1885년 작...
-
쌍한정(雙閒亭)에 있는 기문(記文)과 중수기(重修記). 쌍한정은 1520년에 건립되었으며, 현재의 정자는 그 후손들에 의해 중수되었다. 박수량과 박공달은 쌍한정 옆에 있는 일유암(日遊巖)에서 함께 만년을 보냈다. 이로 인하여 ‘촌옹박리인일유암(村翁朴里仁日遊巖)’이라 새겼으니 지금까지 새긴 글자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 쌍한정에는 운곡(雲谷) 송한필(宋...
-
안동김씨 김몽상(金夢相), 김몽상의 처 강릉김씨, 김석진(金錫晋), 김석진 처 강릉최씨, 김구(金坵) 등 삼세삼효이열(三世三孝二烈)의 효열 행적을 기록한 정려 기문. 「안동김씨 삼효이녀려기(安東金氏三孝二女閭記)」는 강릉시 교2동 "안동김씨 삼세삼효이열지각(三世三孝二烈之閣)" 안에 있다. 제목은 '효열각 행적기(孝烈閣行蹟記)'이다. 이 효열각 행적기는 1807년...
-
안동김씨 김몽상(金夢相), 김몽상의 처 강릉김씨, 김석진(金錫晋), 김석진 처 강릉최씨, 김구(金坵) 등 삼세삼효이열지려각(三世三孝二烈之閭閣)의 중수 사실을 적은 기문. 「안동김씨효열각중수기(安東金氏孝烈閣重修記)」는 강릉시 교2동 안동김씨 삼세삼효이열지각(三世三孝二烈之閣) 안에 있다. 「안동김씨효열각중수기」는 1941년 8세손 김재남(金在南)이 짓고, 김재익(...
-
강릉시 옥계면 천남리 소재 옥천정(玉泉亭)에 있는 상량문(上樑文). 옥천정은 1969년 4월 10일 최진홍(崔鎭洪), 정달화(鄭達和) 등 강릉시 옥계면 천남리 주민 50여 명이 정자계를 조직하여 협동으로 건립하였다. 옥천정에는 가남(可南) 최상덕(崔相德)이 쓴 「옥천정기(玉泉亭記)」[28.5×27㎝]와 상량문(上樑文)[112.5×24㎝]을 비롯해서 12개의 기...
-
심언광(沈彦光)의 제향을 위한 증양재(甑陽齋)의 내력을 적은 기문. 삼척심씨 어촌공(漁村公) 종중 소유의 증양재[강릉시 난곡동 36번지 소재]는 어촌공을 비롯한 선조를 숭모하고 묘소관리 및 일기불순시 묘제를 대신하여 제(祭)를 올리기 위해 지어진 재실로 문중 재산으로 운영되며 제향일은 매년 음력 9월 20일이다. 1958년 후손 심의섭(沈儀燮)이 「증양재기문」...
-
추감재 중수 사실을 적은 기문. 강릉시 강릉대로457번길 84-3[포남2동 389번지] 운곡동에 있는 추감재는 강릉최씨[필달계] 용연동파(龍淵洞派) 운곡상(雲谷上) 문중 소유로 1876년(고종 13) 6월에 건립되었다. 최충일(崔忠一)의 부인인 정부인(貞夫人) 횡성고씨(橫城高氏), 최충일의 아들 최문급(崔文汲), 증손 최중채(崔重采), 5대손 최창혁(崔昌爀)...
-
취영정에 걸려 있는 기문과 상량문. 호산(壺山) 정홍기(鄭鴻基)가 쓴 「취영정기(聚瀛亭記)」, 임인년에 작성된 「취영정기(聚瀛亭記)」, 윤서(潤西) 최원집(崔元集)이 쓴 「취영정중수기(聚瀛亭重修記)」, 하석(荷石) 최용근(崔龍根)이 삼가 쓴 「취영정상량문(聚瀛亭上樑文)」, 호산 정홍기가 찬한 상량문, 오월(梧月) 정봉화(鄭鳳和)가 삼가 쓴 「취영정중수상량문(聚...
-
조선 후기 강릉 부사 정경세가 지방의 풍속 교정을 위해 제시한 절목. 1614년(광해군 6)에 수령 정경세가 생활풍속을 교정하기 위해 제시하였던 명분과 그에 따른 절목이다. 강릉 부사 정경세가 강릉 지역의 생활풍속을 목격하고 성리학적 질서로 교정하기 위해 절목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동성동본의 혼인을 금지하고, 어머니의 장례를 소홀히 하지 말고, 상호부조를 간소하게 할 것을 권유하...
-
강원도관찰사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이 건립한 해운정(海雲亭)에 있는 기문. 해운정에는 안동(安東) 권진응(權震應)이 쓴 「해운정중수기(海雲亭重修記)」, 동양(東陽) 신헌조(申獻朝)가 지은 「해운정중수기(海雲亭重修記)」, 송시열(宋時烈)이 쓴 「정부자영당기(程夫子影堂記)」 등 3개의 현판이 있다. 권진응이 지은 「해운정중수기」는 1530년(중종 25) 해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