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강릉 지역의 문학단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한국문인협회 강릉지부가 정식 발족된 것은 김유진이 지부장을 역임한 1976년 8월이다. 그 후 지역에서 성장한 문인들과 외지에서 직장 관계로 이주한 문인 등 다양한 계층의 문인들이 문학단체를 조직하여 문학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강릉 지역에는 크고 작은 문학회, 시 동인회 모임이 상당수 있어 문학 인...
-
강원도 강릉시 지역 시조동호인 단체. 강릉시우회의 설립은 전통 문화 예술의 하나인 시조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고 시조 문화에 대한 계승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강릉시우회는 1957년 전통국악인 시조 애호인 20여명이 시조 인구의 저변확대와 후진양성을 위해 관동시우회를 조직하고 강릉시 임당동 8번지 구 철도관사 최반규씨 댁에서 발기하면서 설립...
-
1987년 강릉 지역에 창립되었던 문학단체. 1987년 8월 최갑규, 김정개, 구영주, 이광식 등이 발기하여 창립한 문학동인회이다. 강릉오죽문학회는 장르 구분 없이 문학에 뜻을 둔 사람들의 임의 모임으로 출발하였다. 초대 집행부는 회장 구영주(丘英珠), 총무 김찬윤(金燦潤)이 선임되었으며, 회원으로는 조봉규, 최인숙, 전수자, 홍승자, 김영준, 박정미, 권혁남 등이 참여하였다....
-
1994년 강릉 지역에 창립되었던 문학단체. 1994년 8월 1일 참신한 문인들이 모여 발족한 문학 단체로 3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였다. 창립 당시 고문은 유규만(柳奎萬)[당시 KBS 강원총국장], 명예회장에 전용찬(全龍燦) 시인이 추대되었으며, 회장은 심은상(沈殷相)이 맡아 활동하였다. 강릉을 상징하는 경포대의 다섯 개의 달을 상기시켜 현대 문명사회에서 서정성을 구현...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학 동인. 대관령을 중심으로 하여 주로 강릉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군의 문인들이 모여 1996년에 조직한 동인 모임으로 현재 활동을 중단한 상태이다. 창립 당시에 참여한 시인들은 권숙자, 김경미, 김남구, 김수정, 김일남, 김진광, 김학주, 남진원, 돈연, 송준영, 안문효, 이복재, 함영덕, 홍유선 등이다. 대관령...
-
강릉 지역의 학생 문학 동아리. 강릉고등학교 재학생들의 문학 동아리 모임이다. 동아리 명칭인 동해람은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관동별곡(關東別曲)」에서 경포호를 표현하며 ‘孤고舟쥬解해纜람하야 亭뎡子자 우헤 올나가니’라고 읊조린 것에서 ‘해람’을 원용했다고 한다. 1970년 당시 강릉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심재상[현재 관동대학교 교수, 시인]이 중심이 되어 매...
-
1979~199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던 강릉대학의 학생 문학 단체. 미르월은 문학 창작을 위한 합평회, 동인지 발간 등의 창작 활동을 위한 동아리로 설립되었다. 강릉대학[현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문학 동아리의 명칭 ‘미르월’에 단체의 설립 배경과 목적이 담겨 있다. 미르는 '용(龍)'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며, 월(越)은 '뛰어넘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강릉 지역의 시 낭송 모임. 1983년 10월 강릉 지역에서 문학 활동을 하던 신승근, 이언빈, 장병훈, 박기동, 박호영, 심재상 등에 의해 결성된 시낭송 단체이다. 시인과 독자와의 감정의 파장을 맞추고자 하는 의도로 시 낭송 모임을 결성하게 되었다. 1979년 개인과 개인의 심장이 닿는 공간에 시적 위치를 설정하면서 체험의 공유를 믿는 젊은 시인들이 모여 ‘암호동인’을...
-
강원도 강릉 지역 문화지 『새벽들』을 발행했던 강릉지역 문화 운동 단체. 새벽들은 암울한 시대 상황 속의 보수적인 강릉지역 변화를 위해 강릉의 새벽을 만들어 보겠다는 진보적 문화 운동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전순표 강릉동녘출판기획 대표[당시 국본 강릉명주지부 활동]는 “당시 다른 지역에서는 민주화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으나 강릉같은 경우 그렇지 못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함께 새벽...
-
1979년 강릉에서 설립되었던 문학단체. 1979년 개인과 개인이 심장이 닿는 공간에 시적 위치를 설정하면서 체험의 공유를 믿는 당시 젊은 시인군으로 장병훈, 이종린, 신승근, 박남철, 박기동, 박용재 등이 결성한 문학단체이다. 참신한 동인들로 구성된 이 모임은 자체적으로 무크지 『관동별곡(關東別曲)』을 발간하여 문학계의 시선을 끌었다. 매월 마지막 토요일 오후 강릉시 금학동 소재...
-
강릉 지역의 문학단체. 강릉오죽문학회에서 활동하던 민경대, 이광식, 홍승자, 박소희 등이 결성한 문학단체이다. 장르 구분 없이 문학인이 함께 모이는 문학 활동은 시 창작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취지 아래 시 장르에 한정하여 매월 작품을 정해 토론하기로 하고 기성 문인을 비롯하여 일반인과 대학생까지 아우르는 문학단체를 결성하게 되었다. 이들은 주로 카페에 모여...
-
강원도 강릉 지역의 시조 문학 동호인들이 결성한 문학회. 고려 말기에 형성된 우리 고유의 정형시라 할 수 있으며, 그 시형은 3장(章) 6구(句) 45자(字) 안팎으로 이루어진다. 우리의 고전시가는 시조에 와서야 모든 사회계층이 공동으로 즐기는 시가가 되었다. 이러한 시조라는 명칭은 조선 영조 이후 비로소 쓰였는데 영조 때의 시인 신광수(申光洙)가 쓴 『관서악부(關西樂府...
-
전통문화의 계승의 일환으로 한시(漢詩) 짓기 모임 즉 시회를 운영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 한시는 한문으로 지어진 시를 말하며, 오언절구나 칠언절구 등의 형식과 평측(平仄)·압운(押韻) 등의 규칙을 따라 지어진다. 우리나라에서 한시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20세기를 전후하여 근대 민족주의 사조가 형성되기 시작한 무렵부터였다. 영주음사는 영주(瀛洲) 지방 즉 강릉,...
-
1988년에 창립된 강릉의 문학 동인회. 우림문학동인회는 1988년 4월 28일 한국방송통신대학 재학생인 권경숙, 김복자, 김선영(金善泳), 류동희(柳東熙), 윤정희, 엄명자, 원대익(元大翼), 이복재(李福在), 전부용, 최선회(崔善會), 최원규 등이 임당동 소재 한국방송통신대학 강릉학습관 1층 강의실에 모여 창립하였다. 한국방송통신대학 강릉 지역 재학생 및...
-
강릉에서 설립된 아동문학 단체. 1960년 10월 10일 30여 명의 회원이 참가하여 발족시킨 강원도 내의 대표적인 아동문학회이다. 이 모임은 문학 동호인의 순수한 만남을 목적으로 동호인과의 유대 강화, 지방 문학 인구의 저변 확대, 지방 문단과 중앙 문단의 유대 강화를 설립 취지로 하고 있다. 이 단체에는 회장이라는 직책이 따로 없고, 대표 1명이 모든 회무를 처리한다...
-
1995년 11월 17일 피기춘 등이 결성한 강릉 지역의 순수 문학단체. 1995년 11월 17일 피기춘, 주재남, 박광남, 서희경, 신광선, 김동기, 정영화, 석난용, 정근자, 전석산, 이종란, 이석영 등이 관동대학교 엄창섭 교수와 서울예신대 박영남 교수를 지도 교수로 추대하여 발족하였다. 1997년 관동대학교 문예창작교실 제1기 수료생과 강릉예총 문예창작반 수료생 일부가 합류하...
-
2001년 가톨릭관동대학교 평생교육원 문예 창작반 수료생들이 설립한 문학회. 하슬라문학회는 사상과 등단의 유무를 떠나 문학 활동을 통하여 회원 서로 간에 유대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강원도 강릉시 교동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 강릉 지부. 강릉 지역 문인들의 친목 도모와 지역 문단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인협회 강릉지부는 공식 인준을 받기 전부터 임의 단체로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1962년 김원기가 『한국일보』 신춘 문예[동시]에 당선된 이래 지역 문인들이 문단에 데뷔하면서 문학 동호회 형태의 모임이 발족...
-
1980년 6월 김유진 외 20여 명의 문인들이 결성한 강릉 지역의 문학단체. 관동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지평선' 문학동인회가 문학 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던 중 김유진을 중심으로 1980년에 조직되었다. 후에 점차 회원을 확대하여 정순응, 이언빈, 김정개, 박호영 등도 참가하여 강릉 지역 문학 활동에 활력소가 되었다. 1981년 12월 『해안문학』 2집...
-
강릉 지역에 있었던 문학단체. 1980년 박수찬[당시 관동대학교 국어교육과 2년]이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박남철, 박용재, 염산국, 강세환, 박명희 등이 주축이 되어 발족시켰다. 1987년까지 7, 8명의 회원을 중앙문단에 데뷔시키며, 『섬』이라는 무크지를 간행하여 새로운 대학 문화 창출을 주도하였다. 홍문표, 장윤익, 엄창섭 교수 등이 지도하였으며, 박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