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1121 |
---|---|
한자 | 沙田里沙田山神祭 |
영어공식명칭 | Sajeon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Sajeon-ri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 |
집필자 | 이상훈 |
의례 장소 | 산제당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 |
---|---|
성격 | 마을 신앙|마을 제사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1월 14일 오후 10시 |
신당/신체 | 산제당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사전리 사전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10시에 산신에게 유교식으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에서는 농사 풍년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뒷산 산제당에서 사전리 사전 산신제를 지금도 모시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 산제당은 마을 뒷산에 위치한다. 이곳은 소나무와 참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서당골 날망’이라고도 부른다.
[절차]
사전리 사전 산신제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 밤 10시 무렵에 행하여진다. 제관(祭官)은 운이 맞는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하여 음식을 운반할 사람과 함께 두 사람이 산제를 모신다. 제사 비용은 마을 기금으로 충당한다. 그리고 제물(祭物)은 돼지머리를 비롯하여 삼색실과, 탕, 백설기 등을 준비한다. 제사를 지내기 전에 마을 사람들이 마을 회관 앞에 모여 풍물굿을 치며 한바탕 흥겨운 판을 벌인다. 흥겨운 놀이판이 끝나고 나면 제관과 장정 두 사람이 제물을 지게에 지고 산제당으로 간다. 제관이 제를 지내려고 산제당에 불을 밝히면 마을 사람들은 불빛을 보고 이에 따라 각자의 집에 불을 밝힌다. 산신제는 일반적으로 유교식 절차에 따라 대개 진설(陳設), 재배(再拜), 헌작(獻爵), 재배, 소지(燒紙), 음복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소지는 집집마다 올린다.
[축문]
사전리 사전 산신제의 축문은 별도로 없고 구술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부대 행사]
사전리 사전 산신제를 끝내고 마을로 내려오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고 음복을 한다. 이때 풍물 굿패와 함께 흥겨운 놀이판을 벌인 후 각자 집으로 돌아가고, 다음날 아침 정월 대보름 상을 차릴 준비를 한다.
[현황]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의 사전 마을은 본래 마을 뒤로 국도가 지나갔으나 마을 앞으로 새롭게 2차선 도로가 생기면서 마을이 더욱 융성하게 번창하고 있다. 이유는 마을이 풍수지리적으로 거문고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새로 난 도로가 거문고 줄을 의미하고, 차량이 지나가며 내는 소리는 악기 소리를 의미하는데, 거문고 형상의 풍수에 도로가 나면서 소리가 완성되어 자연스럽게 마을이 융성하게 되었던 것이다. 실제로 사전 마을에는 악기와 관련한 지명이 많이 존재한다. 사전 마을은 마을의 지질이 모래이기 때문에 모래땅이라 불린 데서 붙여진 명칭이다. 웃말, 양지말, 평지말, 동촌 등 4개 마을로 구성된 사전 마을은 임진왜란 때 광산 김씨가 들어와 형성되었다. 사전 마을에서는 소나무와 참나무 숲으로 이루어진 산제당에서 사전리 사전 산신제를 모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