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강릉문화대전 > 강릉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력(역사) > 근현대 > 일제강점기
-
1919년 3·1운동 당시 강릉 일원에서 전개된 만세운동. 1919년 3월 1일 서울 등 주요 도시에서 비롯된 만세운동은 곧 전국적으로 파급되었다. 강릉에서는 초당리 청년 최돈옥(崔燉玉)이 탑골공원의 독립선언 식장에 참여하고 돌아온 즉시 창동회(昌動會)를 중심으로 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대체로 강릉 지방의 3.1운동은 서울에서 만세운동이 시작된 지 한 달 후인 4월 2일과 4일·5...
-
1946년의 3·1절 기념식 행사 시 벌어진 좌·우익세력들 간의 대립·충돌 사건. 1946년 3월 1일 해방 후 첫 3·1절 기념식을 좌익은 강릉초등학교, 우익은 옥천초등학교에서 각각 개최하였는데, 좌익이 우익의 3·1절 기념식 행사를 방해하기 위해 우익 기념식장에 몰려와 서로 갈등을 빚었다. 3·1절 기념식은 1919년 3월 l일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
1932년~1933년경 강릉 출신 사회주의 민족 운동가들이 추진한 고려공산당 재건 활동. 강릉지역 공산당원들이 강릉 고려공산당[조선공산당] 재건을 목표로 강릉농업학교 학생들에게 사회주의 사상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고, 강릉적색농민조합원들은 고려공산당 재건을 주도하였다. 강릉청년회, 강릉농민동맹, 신간회 강릉공산청년동맹, 고려공산당 재건 동맹 참여 인물들이 1932~1933년 고려공산...
-
1925년 이래 강릉에서 조직된 사회주의 농민 조합 운동. 농촌계몽과 침체되었던 강릉 청년회의 부흥을 꾀하고 군단위 청년동맹 조직에 주력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1925년 11월 ‘농촌 계몽, 청년 운동 통일’을 목표로 을축 신우회가 조직되었는데 발기인은 최돈은, 정윤시, 김재진이었다. 그들은 주로 강릉청년회와 영동 기자단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인물들이다. 초기의 청년 운동 중심의...
-
1920년대 강릉 포교당 내에서 조직된 강릉 지역 불교 여자 청년 단체. 강릉불교여자청년회는 강릉 포교당을 중심으로 여성 불교 신도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된 청년 단체로 지역 사회 봉사, 생활 개선을 위한 토론회 개최, 여성계에 대한 계몽 활동 등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설립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며, 1920년대 중반으로 알려져 있다. 1927년 5월 22일 강릉불교여자청...
-
일제강점기 강릉농업학교 독서회 회원을 중심으로 전개된 항일학생운동. 독서회는 1925년 이후 광주 지역에서 고조된 분산적이고 개인적인 항일투쟁을, 기조적 교양(基調的敎養)과 추진력에서 체계적·통제적으로 배양시켜 나갈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독서회중앙본부 밑에 각 학교에 단위 독서회를 조직하여 기반을 확대시켜 항일학생층을 폭넓게 수용하고 중앙에서 지도 통제함으로써, 막강한 항일투쟁...
-
일제 강점기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결성된 사회주의 계열의 농민 단체. 강릉적색농민조합(江陵 赤色 農民 組合)은 이미 강릉 지역에서 결성된 강릉 공산 청년 동맹[1932년 2월 결성], 조선 공산당 공작(工作) 강릉 위원회[1932년 4월 10일 결성], 강릉 반제(反帝) 그룹[1932년 6월 상순 결성] 등과 같은 비밀 사회단체와 함께 기관지 발행, 각종 기념 투쟁, 프...
-
일제 강점기 강릉군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청년 단체. 강릉 청년 동맹은 1920년대 강릉 지역 청년 운동이 분산적·파벌적·분국적(分的局) 양상을 띠자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며 통일된 청년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강릉 청년 운동을 주도하였던 강릉 청년회의 조직과 활동이 유명무실해지자 1927년 11월 19일 강릉 청년회를 해체하고 김재진(金在軫)...
-
강릉에 설치되어 있었던 지방 관청인 강릉부(江陵府) 관할지역의 의병부대. 일제에게 당한 치욕을 갚고 동해안 일대의 일본인을 섬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창의대장 민용호가 강릉의진과 합진(合陣)하여 설립하였다. 단순한 의병에서 출발하여 1896년 1월 30일에 관동구군도창의소를 창설하고 2월 15일에는 관동구군도창의부대로 개편하여 항쟁의지를 새롭게 가다듬었다. 군비를 조달하...
-
1927년에 조직된 강릉 지역의 대표적인 여성단체. 근우회 강릉지부는 강릉청년동맹의 김남숙 등의 주도로 강릉여자불교청년회를 끌여들여 조직되었다. 근우회 강릉지부는 불교단체를 주축으로 결성되었으므로 정치적 활동보다는 주로 여성 계몽운동 차원의 활동이 주축이었으리라고 추측된다. 여성계몽운동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의 의식 수준을 높이며, 견고한 단결과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
-
1946년 4월 남한의 공장 종업원들이 노동자의 해방과 복리를 위해 결성한 연맹. 1946년 당시 조선노동운동은 지도자의 비민족적 정신이 부식되어 갈 뿐 아니라 정치적 색채가 농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진정한 국제노선에 입각하여 한국민족으로 독자적 입장에서 자본가의 착취를 배격하고 완전한 민주주의 원칙하에 노동자의 해방과 복리를 위해 결성되었다. 1946년 4월...
-
1927년 12월 3일에 결성된 항일단체인 신간회의 강릉 지역 지회. 1926년 사회주의 사상단체인 정우회에서 비타협적인 민족주의와 통일전선을 구축하자는 제안을 발표함으로써 국내의 민족해방통일전선이 구체화되었다. 그 결과 1927년 12월 국내 민족유일당운동의 좌우합작 모임으로서 신간회가 창립되었으며, 강릉을 비롯하여 각 지방에 지회가 설립되었다. 신간회는 1927년 2...
-
1945년 말 설립된 자생 우익 단체. 1945년 말 외부의 지원이나 어떤 연계 조직도 없는 자생 단체로 김삼[김흥기]이 중심이 되어 조직하였다. 미군정의 재판 시 우익 인사의 형량을 경미하게 하거나 무죄 석방을 돕는 활동을 하였다. 강릉의 남쪽에는 우국동지회 삼척지회가 있었고 북쪽에는 우국동지회 현남지회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