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649
한자 大興寺十三大講師
영어공식명칭 Daeheungsa 13 Great Instructor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인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94년 - 대흥사 13대강사 만화 원오 출생
출생 시기/일시 1629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나암 승제 출생
출생 시기/일시 1728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영파 성규 출생
출생 시기/일시 1678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운담 정일 출생
출생 시기/일시 1687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퇴암 태관 출생
출생 시기/일시 1687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벽담 행인 출생
출생 시기/일시 1691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금주 복혜 출생
출생 시기/일시 1758년 - 대흥사 13대강사 완호 윤우 출생
출생 시기/일시 1789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낭암 시연 출생
출생 시기/일시 1782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아암 혜장 출생
출생 시기/일시 1820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범해 각안 출생
몰년 시기/일시 1707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나암 승제 입적
몰년 시기/일시 1738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운담 정일 입적
몰년 시기/일시 1748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벽담 행인 입적
몰년 시기/일시 1767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퇴암 태관 입적
몰년 시기/일시 1770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금주 복혜 입적
몰년 시기/일시 1758년 - 대흥사 13대강사 만화 원오 입적
몰년 시기/일시 1812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염파 성규 입적
몰년 시기/일시 1826년 - 대흥사 13대강사 완호 윤우 입적
몰년 시기/일시 1811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아암 혜장 입적
몰년 시기/일시 1866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남암 시연 입적
몰년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대흥사 13대강사 범해 각안 입적
학교|수학지 대흥사(大興寺)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지도보기
성격 승려
성별
대표 경력 대흥사 13명의 강백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대흥사를 빛낸 13명의 강사.

[개설]

해남 대흥사(大興寺)의 고승은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와 제자들인 13대종사, 13대강사로 대표된다. 1823년 대흥사에서 간행된 『대둔사지(大芚寺志)』에 이들의 행적과 사상 등이 약술되어 있다.

[활동 사항]

대흥사는 1788년 사찰에 표충사(表忠祠)를 세우고 서산대사의 가사와 발우를 보존하면서 호국정신과 불교의 강학을 특징으로 하여 발전하였다. 서산대사는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으로 유불도(儒佛道) 3교의 근본이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성리학적 지배질서하에 쇠락해진 조선 불교의 위상을 세웠다. 서산대사의 입적을 기려 대흥사와 송광사에서 화엄대회를 개최하고 이후 선암사와 미황사 등에서 화엄대회와 강회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아래 대흥사에서는 13명의 명강백(講伯)이 탄생하였다. 13대강사들은 특히 화엄학에 뛰어났으며, 임제선(臨濟禪)[임제종에서 하는 선법(禪法)]의 종풍을 이어 받은 종사들 역시 화엄강회로 유명한 이들이었다. 대흥사는 엄연히 서산대사의 법맥임을 표방하는 선종 교단이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화엄 교학 역시 성했음을 알 수 있다.

대흥사 13대강사는 나암(懶庵) 승제(勝濟)[1629~1707], 운담(雲潭) 정일(鼎馹)[1678~1738], 벽담(碧潭) 행인(幸仁)[1687~1748], 퇴암(退庵) 태관(泰瓘)[1687~1767], 금주(錦洲) 복혜(福慧)[1691~1770], 만화(萬化) 원오(圓悟)[1694~1758], 영파(影波) 성규(聖奎)[1728~1812], 완호(玩虎) 윤우(倫佑)[1758~1826], 아암(兒庵) 혜장(惠藏)[1772~1811], 낭암(朗巖) 시연(示演)[1789~1866], 범해(梵海) 각안(覺岸)[1820~1896], 연해(燕海) 광열(廣悅)[?~?]과 영곡(靈谷) 영우(永愚)[?~?] 등이다. 13대강사 가운데 나암 승제와 운담 정일은 소요(逍遙) 태능(太能)의 후계이고, 영파 성규는 함월(涵月) 해원(海源)[1691~1770]의 법을 받은 제자이다. 벽담 행인은 부휴(浮休) 선수(善修)의 제자이고, 금주 복혜·낭암 시연·아암 혜장은 화악(華嶽) 문신(文信)의 후계이다. 나머지 강사들은 호암(虎巖) 체정(體淨)의 제자이다.

[사상과 저술]

운담 정일의 저서로는 『운담시문집(雲潭詩文集)』이 있다. 범해 각안의 저서로는 『동사열전(東師列傳)』, 『범해선사유고(梵海禪師遺稿)』, 『경훈기(警訓記)』, 『유교경기』, 『사십이장경기』, 『시략기』 1권, 『통감기』, 『진보기』, 『박의기(博儀記)』, 『사비기(四碑記)』, 『명수집(名數集)』, 『동시선(東詩選)』, 『은적사 사적기』 등 20여 편이 전한다.

[묘소]

대흥사 부도전만화 원오, 완호 윤우, 범해 각안의 승탑과 1858년 건립된 완호대사탑비(玩虎大師塔碑)가 건립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