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593 |
---|---|
한자 | 水原白氏 |
영어공식명칭 | Suwon Baek Clan |
이칭/별칭 | 해미백씨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윤섭 |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 1537년 - 백광훈 출생 |
---|---|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 1582년 - 백광훈 사망 |
입향 시기/일시 | 1560년![]() |
본관 | 수원 - 경기도 수원시 |
입향지 | 전라도 영암군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 |
성씨 시조 | 백우경(白宇經) |
입향 시조 | 백광훈(白光勳) |
백우경을 시조로 하고 백광훈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해남군의 세거 성씨.
수원 백씨(水原白氏)는 해남군의 세거 성씨 가운데 하나로, 주로 해남군 옥천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수원백씨의 시조 백우경(白宇經)은 중국 소주(蘇州) 출신으로, 당(唐)나라에서 첨의사(僉議事)와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으나 간신들의 모함을 받아 780년(선덕왕 1) 신라에 귀화하였다. 이후 세계는 실전되어 알 수 없으며, 신라 경덕왕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내고 상장군(上將軍)에 증직된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삼았다.
백창직의 후손 백휘(白揮)가 고려 목종 때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졌으며, 백천장(白天藏)이 원(元)나라에서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귀국하여 고려 충선왕 때 수성백(隋城伯)[수성은 수원의 옛 이름이다]에 봉해졌다고 하나 둘 다 역사 기록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현재 전하는 역사 기록으로 볼 때 수원을 본관으로 처음 쓴 사람은 백효삼(白效參)이다. 백효삼은 1427년(세종 9) 과거시험 답안지에 본관을 수원으로 기재하였다. 백효삼은 보성현감(甫城縣監)을 지낸 백회(白薈)의 아들이다.
수원백씨 해남 입향조는 옥봉(玉峰) 백광훈(白光勳)[1537~1582]으로, 1560년(명종 15)에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원경산(元敬山) 옥봉 아래에 만취당(晩翠堂)과 옥산서실(玉山書室)을 짓고 은거한 이후 후손들이 대를 이어 왔다. 수원백씨는 당시 선산임씨, 하동정씨 등 해남의 여러 재지사족(在地士族)들과 혼인 관계를 맺으며 지역의 유력 가문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백광훈은 최경창(崔慶昌)·이달(李達)과 더불어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 사람으로 널리 이름이 알려졌다. 백광훈의 형인 백광안(白光顔)과 백광홍(白光弘), 그리고 사촌 아우 백광성(白光城) 또한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해남의 수원백씨는 옥천면 일대를 비롯해 송산리에 10여 가구가 살고 있다.
해남 수원백씨 관련 유적으로는 옥천면 송산리의 옥산서실(玉山書室)을 들 수 있다. 1712년(숙종 38) 옥봉사(玉峰祠)로 창건된 옥산서실은 백광훈을 배향하고 있으며, 백광훈과 아들인 백진남(白振南)의 후손들과 관련된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