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002
한자 地形·地質
영어공식명칭 Landforms·Geology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해근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지역을 구성하는 지형과 지질.

[개설]

해남군 지역은 강진군 도암면에서 땅끝까지 북동에서 남서 방향의 해남반도를 중심으로 북서측에 산이반도와 화원반도가 각각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연결된 우리나라 최남단의 반도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안은 입출입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분포와 화산활동]

해남군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복합체가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화산암류인 유문암과 화강암, 안산암, 응회암류, 미고결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남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의 남부 지역은 중생대 백악기 시기 북서태평양에서 일어난 활발한 화산 활동의 중심지였다. 목포에서 해남에 걸쳐 나타나는 환상 구조는 백악기 말 세그마니안기[cenomanian age]에 안산암질 화산 활동이 화원반도를 중심으로 성층 화산을 형성하였으며, 화산이 분출할 때 대량으로 분출한 화산쇄설성 퇴적암류인 안산암질응회암의 화원층이 형성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퇴적암 우항리층이 형성된 이후에 유문암질 화산 활동이 다시 시작되어 플리니식[plinian, 점성이 큰 유문암질 마그마가 분출하는 화산 분화 형식] 분출로 화산성쇄설물이 우항리층을 덮고 있다. 상퍄뉴절[Campanian Age] 초기에는 대규모의 유문암질 회류응회암을 분출하여 직경 약 30㎞에 달하는 해남-목포 칼데라(Caldera)[커다란 솥 모양의 화산 분지]를 형성하고, 황산회류응회암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로 마그마층이 재생하면서 환상열극화산작용으로 진도유문암과 각섬석이 환상열극을 따라 관입 분출하였다. 칼데라의 중앙부에는 마그마류의 상승으로 산이화강암과 월출산화강암, 남각산 미문상화강암 등이 각각 관입하였으며, 칼데라 저면은 화강암을 중심으로 돔상의 배사구조를 이루고 있다.

[지세]

해남군 지역의 산지는 해남반도 중앙에 위치한 두륜산국립공원과 선운산, 만대산 등을 중심으로 비교적 험준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해남반도 남동부와 북서쪽에 위치한 산이반도와 화원반도는 완만한 사면과 구릉지와 골짜기를 따라 곡저 평야가 발달한다. 산이반도와 화원반도를 둘러싸고 있던 넓은 간석지는 영암방조제금호방조제를 건설하면서 영암호와 주변에 대규모 간척 평야로 개발되고 있다. 해남군의 서북쪽은 금호도와 서쪽 삼마도, 죽도, 어불도 등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하고 있다.

[지형분포]

해남군의 지형은 소백산맥의 지맥이 해남반도 끝까지 이어지면서 완만한 구릉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동북부 산악 지대에 위치한 해남군 마산면계곡면은 화산암류로 생긴 산지가 분포하고, 서쪽에 위치한 화원면은 안산암질 화산암류 산악 지형을 이룬다. 특히 풍화 작용에 강한 용암산 규암층이 배사축에 해당하여 달마산[470m]과 도솔봉[411m]을 연결하는 험준한 산세를 보이고, 미문상 화강암체인 두륜산[700m], 대둔산[671m]과 위봉[517m]을 잇는 능선이 높은 봉우리를 형성하고 있다. 그 외 산봉우리는 대체로 주산맥과 동일하게 북동 방향과 북북서-남남서 방향을 나타내며, 이들 대부분은 화산암류를 이루고 있다. 해남군 산이면문내면, 황산면은 지형적으로 기복이 매우 작고 간척 사업으로 경작지가 넓게 발달하였다. 이들 편마암류와 편암, 응회암 등은 완만한 사면과 구릉지를 이루고 있다. 구릉지와 평야 지대가 발달한 서남부 연안은 간척지와 양식장, 염전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단조로운 지형을 보이고 있는 주변의 크고 작은 섬들은 최후빙기 이후 침강되어 산정부만 해면상에 남겨진 것들이다.

해남군 산이면마산면, 해남읍, 옥천면, 계곡면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흑운모화강암은 국부적으로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이 발달하고 있으며, 산이반도 북서단 변성암 복합체 노출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심층 풍화가 진행되어 저구릉지의 황토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수계]

해남군 지역의 수계는 분지형 소규모의 협곡을 따라 흐르는 소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 하천의 발달은 미미하다. 하천 대부분은 두륜산, 대둔산, 달마산, 도솔봉 등으로 이어지는 대둔산맥의 산릉 사이 또는 협곡에서 발원하여 사행천으로 하천 유로가 짧고 유량이 적으며, 하식 작용이 심하여 골짜기가 깊은 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