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76
한자 1872年地方地圖海南縣·靈巖郡·靈巖於蘭鎭·靈巖梨津鎭
영어공식명칭 District Maps in 1872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덕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1872년 지방지도』 작성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56-1]
성격 고지도

[정의]

조선 후기 해남 지역이 수록되어 있는 1872년에 제작된 지방지도.

[제작 발급 경위]

『1872년 지방지도(1872年 地方地圖)』는 1871년(고종 8) ‘열읍지도 등상령(列邑地圖謄上令)’에 따라 이듬해 전라도 해남현, 영암군 이진진, 영암군, 영암 어란진에서 발급한 현 해남군 일원의 지도이다.

[형태]

『1872년 지방지도』는 필사 채색본 낱장으로 되어 있다. 현재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56-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1872년 지방지도』는 1872년(고종 9) 전국의 군현, 영, 진보, 목장, 산성을 대상으로 작성된 총 459매의 지도이다. 이 가운데 전라도 편은 84매인데, 그 속에 「해남현지도(海南縣地圖)」가 들어 있다.

「해남현지도」에는 먼저, 주기(註記)가 기록되어 있다. 상단에는 해남의 건치 연혁, 원호[5,978호], 인구[18,097구], 결총[4,894결]이 적혀 있고, 하단에는 거리, 면[14], 요해처[1처], 산성[무], 봉대[2처], 사창[8처], 관방[1처] 등이 적혀 있다. 지도를 보면 읍성이 자세하게 그려져 있고, 읍성 안에는 객사·아사 등의 공공건물이, 밖에는 향교·사직단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도에는 비곡면, 청계면, 녹산면, 은소면, 현산면, 현이면, 화일면, 화이면, 황일면, 황이면, 장내면, 산일면, 산이면, 마포면 등 14개 면의 이름과 소속 마을의 이름이 각기 다른 색으로 적혀 있다[삼촌면도 적혀 있으나 이는 진도 땅이다]. 가령, 산일면은 붉은색으로 적혀 있지만, 산이면은 흰색으로 적혀 있다. 또한 도로, 산, 강, 사창, 해창, 장시, 주점, 봉수대, 사찰, 나룻터 등이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관내의 우수영이 성곽, 군선, 관공서와 함께 그려져 있다.

이 외에 읍성 남문 밖 천(川)에는 무지개 모양의 홍교(虹橋)가 그려져 있다. 이 다리는 수령 김서구(金敍九)가 축조한 것으로 그 옆에는 청류정(聽流亭)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지도에 그려진 청류비(廳流碑)는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우수영 남문 밖 선소에는 5척의 군선이 그려져 있는데 가운데에 ‘귀선(龜船)’ 한 척이 있고, 동문 밖에는 ‘충무공비각(忠武公碑閣)’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지금도 남아 있는 ‘명량대첩비’이다.

한편, 20세기 초 행정구역 개편 때에 영암군이던 옥천면, 송지면, 북평면이 해남군으로 새로이 편입되었다. 따라서 이 세 면에 대해서는 『1872년 지방지도』 속의 「영암군지도」, 「영암어란진지도」, 「영암이진진지도」 등이 참고가 된다. 위의 지도들에 옥천면이 된 옥천시면과 옥천종면, 송지면이 된 송지시면과 송지종면, 북평면이 된 북평시면과 북평종면이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872년 지방지도』는 국가가 주도하여 작성한 지도라 군의 여러 시설이 세세하게 작성되어 있어 당시 해남 지역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