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469
한자 海南大興寺金銅觀音菩薩坐像
영어공식명칭 Seated Gilt-bronze Avalokitesvara Statue, Haenam Daeheu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최인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조선 전기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조성
보수|복원 시기/일시 1724년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중수 개금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3월 12일연표보기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보물 제154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보물로 재지정
현 소장처 대흥사 성보박물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지도보기
원소재지 대흥사 도선암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지도보기
복장 유물 소장처 대흥사 성보박물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지도보기
성격 보살상
재질 금동
크기(높이) 49.3㎝[높이]|32.7㎝[무릎 폭]
소유자 대흥사
관리자 대흥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불상.

[개설]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海南大興寺金銅觀音菩薩坐像)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있다. 조선 전기에 조성된 금동관음불상으로, 2008년 3월 12일 보물 제154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오른쪽 무릎을 세우고 무릎 위에 오른팔을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왼손으로 바닥을 짚고 있는 윤왕좌(輪王座)를 취하고 있다. 보살상은 당초문이 빽빽이 투각된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귀 뒤로 화려한 관대가 휘날리고 있다. 보발은 길게 늘어진 귀의 중간 부분을 지나 귓불을 따라 어깨 위로 늘어져 있고, 어깨에서 몇 가닥으로 둥글게 꼬인 후 허리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타원형의 얼굴에 아래로 살짝 내려 뜬 눈, 포물선을 그리는 눈썹에서 연결된 오뚝한 코, 약간 미소를 머금은 입 등 온화한 느낌을 준다. 목에는 삼도(三道)[불상의 목에 표현된 3개의 주름]가 있고, 목 바로 아래 3줄로 이루어진 연주문 목걸이를 두르고, 그 밑으로 좌우 대칭으로 양 가슴까지 길게 U자형의 영락 장식이 늘어져 있다. 벗은 상반신에 양쪽 어깨에 늘어진 천의 안쪽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천의 자락이 늘어져 있고, 뒤에서 넘어온 한 자락이 복부에서 앞으로 넘어와 수직으로 늘어져 펼쳐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치맛자락은 자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다.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에서 중수개금(重修改金) 발원문이 발견되었는데 내용은 옹정 이년(擁正二年)인 1724년 관음상을 중수 개금하여 대흥사의 산내 암자인 도선암에 봉안하였으며, 당시 증사(證師)는 민화(敏和)이고 화원은 치상(致祥), 쾌시(快始), 칠혜(柒惠) 등이라는 내용이다.

[특징]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보관과 장신구들의 표현은 전반적으로 고려시대 보살상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타원형의 온화한 인상이나 신체에 간략한 영락 장식을 착용하였으며, 신체를 감고 있는 천의 등에서 고려 후기의 보살상보다 도식화된 특징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 양식을 계승한 조선 전기의 금동관음보살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고, 조선 후기 중수 개금 사실과 봉안처를 알 수 있어 불교 미술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