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2159 |
---|---|
한자 | 落花巖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금강공원길 136[영흥리 78]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용건 |
[정의]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낙화암에 있는 단종의 시녀와 종인들의 충절을 기린 조선 후기의 비.
[개설]
낙화암은 단종을 모시던 시녀와 종인들이 투신한 곳이다. 영월부사 홍성보는 1742년(영조 18) 금강정 뒤쪽에 시녀, 종인의 신위를 봉안하기 위하여 ‘사우(祠宇)’를 건립하였다. 그리고 암벽 위에 갈석(碣石)을 세우고 비제를 ‘낙화암’이라 하였다.
[건립 경위]
낙화암비(落花巖碑)에는 ‘증정기원[1629] 후 두 번째 임술[1742] 7월일’이라는 건립 연대가 표시되어 있다. 270여 년 전에 세워진 원비는 1910년 여름 비석 윗부분이 동강으로 떨어져 물에 잠겼다. 나머지도 겨울 부랑자에 의하여 동강으로 던져졌다. 비문의 탁본은 해서체인데, 가로 21㎝, 세로 22㎝의 크기로 ‘청령포금표비’와 함께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다.
1924년 영월군수 홍양 이석희와 보승회장 지창영이 주선하고 석공 이성심이 글을 새겨 다시 낙화암비를 세웠다.
[위치]
낙화암비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78번지에 있다. 금강공원 내 금강정 앞 산책로 따라 우측으로 150m 지점에 있는 얼굴 모양 조형물 앞에 있다.
[형태]
낙화암비 비신은 이암을 비석 모양으로 다듬었으며 비신 높이 80㎝, 너비 36㎝, 두께 8㎝, 비좌는 높이 13㎝, 너비 65㎝, 두께 50㎝으로 둥근 모양에 아래쪽은 흙에 묻혀 있다.
[금석문]
낙화암비 앞면에는 ‘낙화암’이라고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다. “단종조의 여러 시녀와 종인이 같은 날 동강에 투신하여 순절하였다. 숙종 무인년[1698년(숙종 24)]에 ‘민충사’란 편액이 내려졌다. 이보다 앞선 영종 임술년[1742년(영조 18)]에 영월부사 홍성보가 처음으로 비를 세우고 ‘낙화암’이라는 세 글자를 새겨 넣었다. 융희 경술년[1910년] 여름에 비석 머리 부분이 반쯤 떨어져 나가 물에 잠겼고, 같은 해 겨울 어느 불량한 자가 나머지 비석도 강물에 던져 버렸으니, 차마 입에 담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군수 이석희와 보승회장 지창영이 비를 세우기로 뜻을 모아 이왕직에 보고를 올리고, 특별히 격려하고 권장하는 윤음을 받은 바 힘입어, 이에 며칠도 안 되어 일을 모두 마치고, 낙화암 옛터에 비석을 세우게 되었다. 갑자[1924년] 3월 일 본 군수 이석희 보승회장 지창영 석공 이성심”
[현황]
낙화암비 비좌는 전체적으로 돌이끼가 많고 풍화가 심하며, 비신은 상단에 돌이끼가 많고 풍화의 흔적이 약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