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가정의 여러 신을 믿는 의례 행위. 가정신앙은 가정의 여러 신에게 정기적으로 의례를 올리거나 치성을 드리거나 섬기는 한국 고유의 신앙 행위이다. 주로 주부가 집안의 신에게 제사나 고사, 굿 등을 통하여 집안의 평안과 가족의 운수를 기원한다. 가신에 대한 제례는 대체로 농업 주기에 맞추어져 있다. 특히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과 10월에 집중적으로 모셔...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행하는 당골을 매개로 한 모든 신앙. 무속 신앙은 무당을 주축으로 하여 민간에서 전승되는 신앙이다. 민간 신앙 중 가장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교적 지도자로서의 무당이 종교 의식을 집행하며, 종교 의식에 필요한 구비 경전으로서의 무가(巫歌)가 있다. 무속 신앙은 오늘날에도 살아 있는 종교로서 민간에 뿌리를 두고 있는 대표적인 신앙이다. 제...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신에게 기원하는 신앙 행위. 마을신앙은 한 마을을 단위로 재앙을 멀리하고, 마을의 화합과 번창을 신에게 기원하는 신앙 행위이다. 일반적으로 마을신앙은 동제(洞祭)[산신제·당산제·거리제], 돌탑, 장승, 짐대, 풍암제, 농기 올리기, 기우제, 선돌 신앙 등이 있으며 금기(禁忌), 주부(呪符), 주술(呪術) 행위 등도 포함한...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올리는 제의. 기우제(祈雨祭)는 비 오기를 기원하는 제사인데, 보통 마을에서는 ‘무제’, ‘무지’라고 부른다. 농경 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는 가뭄이 계속될 경우에 날을 정하여 기우제를 모셨다. 가뭄이 들게 되면 민심이 흉흉해지게 마련이다. 특히 옛날에는 수리 시설이 제대로 완비되지 않아 가뭄 피해를...
동제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서면 마을에서 마을의 액운을 막고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온 마을 제사. 대차리 서면 동제는 음력 1월 14일 밤 12시에 마을 주변 다섯 당산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의 서면 마을에서는 옛날부터 화재가 자주 발생...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차산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대차리 차산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저녁에 당산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의 차산 마을에서는 산신제와 거리제를 네 군데 당산에서 모셨다. 예전의 차산 마을에서는 산신제뿐만 아니라 마을 입구의...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산의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내도리 산의 산신제는 음력 1월 13일 밤에 마을 뒷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무고와 평안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먼저 뒷산에서 산신제를 모신 뒤에 마을 앞에서 거리제[짐대제]를 모시고 있다. 내도리 산의 산신제에 대한...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굴천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내도리 굴천 산신제는 음력 1월 15일 저녁에 산제당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그리고 마을 앞 돌탑에서 거리제를 모신다.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의 굴천 마을은 안담, 바깥담으로 구분된다. 본래는 안담 산제당과 바깥담...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앞섬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내도리 앞섬 산신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산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의 무고와 평안을 빌며 주민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의 앞섬 마을에서는 산신제와 거리제를 지낸다. 산신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에 모셨다. 그리고 거리제는 음...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용포리 잠두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용포리 잠두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사이에 산제당에서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본래 정월 열 나흗날과 시월 열 나흗날 등 1년에 두 번을 모셨으나 지금은 정월에 한 번만 모신다. 산신제를 모...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오산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오산리 오산 산신제는 음력 1월 2일 밤 12시 무렵에 산제당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오산리 오산 산신제는 용두산(龍頭山) 정상에 있는 산제당에서 모신다. 예전에는 마을 회관 앞 둥구나무에서 거리제...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왕정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오산리 왕정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밤 자시(子時)[밤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부터 새벽닭이 울 무렵까지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왕정 마을에 있는 뒷동산 중턱의 커다란 참나무, 소나무와...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도소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대소리 도소 산신제는 음력 1월 3일 해가 질 무렵에 산제당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도소 마을에서는 마을 뒷산의 산제당에서 제를 모시고, 마을 회관 앞에서 거리제를 모신다. 1990년 무렵부...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대소리 유평 산신제는 음력 정월 보름날 저녁 7시~8시에 마을 뒷산의 제단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 마을에서는 현재까지 산신제와 거리제를 모시고 있다 대소리 유평 산신제는...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고창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고창리 고창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밤 7시~8시에 산제당에서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고창 마을에서는 고창리 고창 산신제를 모셨으나 1990년 무렵에 없어졌다. 제가 끊긴 이유는 제관이 제사...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길왕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사천리 길왕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 밤에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길왕 마을에서는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사천리 길왕 산신제를 모셨으나 2003년 무렵에 중단되었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서창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사천리 서창 산신제는 음력 1월 2일 밤 11시~12시 무렵에 할아버지와 할머니 산제당에서 마을의 무병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사천리 서창 산신제는 서창 마을에 살고 있던 주민들이 감소함에 따라 1990년 무렵에 없어졌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억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사천리 구억 산신제는 음력 1월 3일 자시(子時)[밤 11시부터 오전 1시 사이]에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구억 마을에서는 산제당에서 사천리 구억 산신제를 모셨으나 2...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 마산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사산리 마산 산신제는 음력 1월 3일 오후 7시~8시 무렵에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 마산 마을에서는 산제당에서 사산리 마산 산신제를 모시고 있다. 제관은 학림사 스님이...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산리 사내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사산리 사내 산신제는 음력 1월 2일 해넘이 때에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사산리 사내 산신제는 산제당에서 모신다. 산신제를 모신 후 마을 앞 정자나무에 제를 지냈으나 1997...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가리 상가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삼가리 상가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6시~7시 무렵에 마을 뒷산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상가 마을에서는 산제당에서 삼가리 상가 산신제뿐만 아니라 마을 입구에서 당산제를 모신다. 마을 사람들의 신앙심이 다른...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원심곡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심곡리 원심곡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8시~10시 무렵에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원심곡 마을에서는 산제당에서 심곡리 원심곡 산신제뿐만 아니라 마을 입구에서...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배방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심곡리 배방 산신제는 음력 1월 2일 밤 11시~12시 사이에 마을 뒷산 중턱에 자리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배방 마을에서는 산제당에서 심곡리 배방 산신제뿐만 아니라 마을 입구의 20여 년...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관서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심곡리 관서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밤 11~12시 무렵 마을 오른쪽에 위치한 산제당에서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심곡리 관서 산신제는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오래 전부터 지내 왔다. 그...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보안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삼공리 보안 산신제는 음력 1월 3일 밤 자시(子時)[밤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 무렵에 마을 뒷산 산제당과 마을 입구 느티나무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보안 마을에서는 농사 풍년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대불리 불대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대불리 불대 산신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밤 12시 무렵에 마을 뒤와 옆에 위치한 소나무와 바위로 구성된 산제당에서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설천면 대불리 불대 마을에서는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음력 섣달 그믐날 12시...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원삼공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삼공리 원삼공 산신제는 음력 1월 2일 밤 12시에 마을 뒷산 산제당에서 마을의 무병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원삼공 마을 뒷산에 콘크리트로 조성된 산제당에서 산신제를 모시며, 이후 삼공리 원삼공 마을 장승과 삼공리...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안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금평리 안기 당산제는 음력 1월 14일 밤 11시~12시에 당산에서 일 년 동안 마을에 들어오는 모든 재앙을 막아 무사태평하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안기 마을에서는 마을 뒷산에 있는 당산인...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갈마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죽천리 갈마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10시에 산신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죽천리 갈마 산신제는 1980년 무렵에 중단된 상태이다. 마을 입구에는 ‘도탐’이라 불리는 돌탑이 있는데, 풍수 비보적인...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명천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죽천리 명천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10시 무렵에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명천 마을은 양촌과 음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기 세 곳에서 죽천리 명천 산신제를 모셨다. 1970년대에 이미...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사전리 사전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10시에 산신에게 유교식으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전 마을에서는 농사 풍년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뒷산 산제당에서 사전리 사전 산신제를 지...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교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사전리 사교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 뒷산 소나무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사전리 사교 산신제는 마을 뒷동산 소나무에서 모셨으나 1990년 무렵에 없어졌다. 그리고 마을 입구에 마을의 수...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도촌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금평리 도촌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밤에 마을 뒷산의 산제당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도촌 마을에서는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기 위하여 금평리 도촌 산신제와 마을 입구 느티나무에 제를 모셨...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정천 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덕산리 정천 산신제는 음력 1월 14일 밤에 산제당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덕산리 정천 산신제는 마을 왼편 소나무 숲과 참나무 그리고 2기의 입석으로 구성된 산제당에서 지내고, 거리제는 마을 입구의...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 마을에서 마을의 액운을 막고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덕산리 덕곡 당산제는 음력 1월 2일 11시 무렵에 당산(堂山)에서 일 년 동안 마을에 들어오는 모든 재앙을 막아 무사태평하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당산은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는 산신(山神)이나 동신(洞神...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내창 마을에서 마을의 액운을 막고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북창리 내창 동제는 음력 1월 14일 오후 11시 무렵에 산제당집에서 산신제를 지낸 후, 마을 입구에 있는 당산[정자나무와 돌탑]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내창...
민간 신앙 유적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대소 마을에 있는 선돌. 무주 대소리 입석은 커다란 바위를 약간만 다듬어서 액막이를 위해 세워 놓은 민간 신앙 유적이다. 입석은 일반적으로 마을 입구나 경계에 세워져 그 기능을 담당하는데 1기나 2기가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마을 수호, 생산과 풍요, 액막이[기자, 성 신앙], 화재막이, 풍수 비보적 역할을 한다. 무...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장기리 하이목 마을에 있는 선돌. 무주 장기리 입석은 길쭉하고 커다란 바위를 약간만 다듬어서 액막이를 위해 세워 놓은 민간 신앙 유적이다. 입석은 일반적으로 마을 입구나 경계에 세워져 그 기능을 담당하는데 1기나 2기가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마을 수호, 생산과 풍요, 액막이[기자, 성 신앙], 화재막이, 풍수 비보적 역할을 한다....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삼유리 성도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무주 삼유리 입석은 길쭉하고 커다란 바위를 약간만 다듬어서 액막이를 위해 세워 놓은 민간 신앙 유적이다. 입석은 일반적으로 마을 입구나 경계에 세워져 그 기능을 담당하는데 1기나 2기가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마을 수호, 생산과 풍요, 액막이[기자, 성 신앙], 화재막이, 풍수 비보적 역할을 한다....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왕정마을에 있는 숲. 오산리 왕정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마을에 있는 숲. 공진리 주고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명천마을에 있는 숲. 죽천리 명천마을 숲은 바람을 막아 마을을 보호하는 전형적인 방풍림이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물이며, 심미적으로는 풍치의 장소이다. 또한 바람과 홍수 등을 막아 마을을 보호하는 구조물이며, 마을의 영역을 결정하는 상징적 장소로서의 역할...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죽장마을에 있는 숲. 죽천리 죽장마을 숲은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죽장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통안마을에 있는 숲. 공정리 통안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서창마을에 있는 숲. 사천리 서창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수구막이란 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거나 또는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사천리 길왕마을에 있는 숲. 사천리 길왕마을 숲은 마을 입구에 자리 잡은 전형적인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민간 신앙 유적이다. 마을 숲은 민속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고,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물이며, 심미적으로는 풍치의 장소이다. 또한 바람과 홍수 등을 막아 마을을 보호하는 구조물이며, 마을의 영역을 결정하...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내창 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북창리 내창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무주 지역에서는 돌탑을 ‘도탐’, ‘도탐배기’, ‘조탑배기’ 등이라고도 한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공진리 주고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공진리 주고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공진리 주고마을 돌탑은 풍수 비보적인 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정천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덕산리 정천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덕산리 정천마을 돌탑은 전형적인 풍수 비...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수락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덕산리 수락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수락마을은 풍수적으...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사교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사전리 사교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사전리 사교마을 돌탑은 새마을 운동 때...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갈마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죽천리 갈마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죽천리 갈마마을 돌탑은 풍수...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축천리 명천마을에서 돌탑에 있는 돌로 쌓은 탑. 죽천리 명천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명천마을[...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미천리 중미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미천리 중미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미천리 중미마을 돌탑은 물길이...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미천리 하미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미천리 하미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미천리 하미마을 돌탑은 마을...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대불리 불대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대불리 불대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대불리 불대마을 돌탑은 소나무...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원삼공마을에 있는 돌로 쌓은 탑. 삼공리 원삼공마을 돌탑은 마을의 터를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잡석을 쌓아 올려서 만든 민간 신앙 유적이다. 돌탑은 마을에 따라서는 주 당산(堂山) 혹은 하위 보조신(補助神)으로 모셔질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삼공리 원삼공마을 돌탑은...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왕정마을에 있는 마을 수호 목적의 돌장승. 오산리 왕정마을 장승은 돌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 마을 입구에 세운 민간 신앙 유적이다. 장승은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나무나 돌로 세워 놓은 것인데, 상부에는 사람 얼굴이나 귀면(鬼面)의 형상을 그리거나 조각하고, 하부에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상원주장군(上元周...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배방마을에 있는 마을 수호 목적의 나무 장승. 심곡리 배방마을 장승은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 마을 입구에 세운 민간 신앙 유적이다. 장승은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나무나 돌로 세워 놓은 것인데, 상부에는 사람 얼굴이나 귀면(鬼面)의 형상을 그리거나 조각하고, 하부에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상원주장군(...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원삼공마을에 있는 마을 수호 목적의 나무 장승. 삼공리 원삼공마을 장승은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 마을 입구에 세운 민간 신앙 유적이다. 장승은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나무나 돌로 세워 놓은 것인데, 상부에는 사람 얼굴이나 귀면(鬼面)의 형상을 그리거나 조각하고, 하부에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상원주장...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산의마을에 있는 짐대 내도리 산의마을 짐대는 나무로 만든 오리 조각을 장대 위에 얹혀 놓아 액막이를 위해 세워 놓은 민간 신앙 유적이다. 짐대는 가늘고 긴 나무나 돌 윗부분에 새를 한두 마리 올려놓고 단독으로 세우거나, 장승과 함께 마을 입구나 신성한 장소에 세워 액운을 방지하고,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신앙화된 민속 신앙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