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의례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한 개인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거행하는 의례. 평생 의례(平生儀禮)란 개인이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죽은 이후에도 단계별로 거치는 의례로 출산 의례(出産儀禮),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평생 의례라는 용어는 ‘관혼상제’, ‘통과 의례’ 등의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사람이 죽었을 때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喪禮)는 한 사람의 죽음을 맞이하여 그 주검을 거두어 땅에 묻기까지의 절차를 말한다. 상례는 대개 죽음을 현실로 수용하는 초종시(初終時)의 의례, 시신을 처리하는 습(襲)과 염(殮)의 의례,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發靷)과 매장(埋葬)에 따르는 의례, 상주(喪主)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혼기에 찬 남녀가 부부로 결합하기까지 행해진 관련 의례. 혼례는 한 남자와 여자가 결합하여 가정을 꾸밀 때 올리는 의례이다. 신랑 신부는 혼례를 치름으로써 하나의 가정을 이루게 되고, 사회적으로는 보다 당당한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혼례를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 인식할 만큼 중요하게 여겼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행해지는 의례. 제례(祭禮)란 조상을 추모하고 유덕을 기리는 의례로서 어버이를 받들고 조상을 숭모하는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이다. 이러한 제례는 출신 지역과 가문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대동소이하다. 무주 지역에서 실제로 행해지는 제사는 크게 기제사(忌祭祀), 명절 차례(名節茶禮), 시제(時祭)로 나누...
세시 풍속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생활 풍속. 세시 풍속은 한민족 전통문화의 총체로, 1년 단위로 순환하는 음력에 따른 시간의 관념에 따라 한 해의 일정한 날에 행사나 의례, 행위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연중행사를 의미한다. 이러한 세시 풍속은 신앙, 의례, 놀이, 속신(俗信), 주술(呪術), 금기(禁忌) 등이 복합되어 전승...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계절의 표준점이 되는 시기에 거행하는 풍속. 절기는 1년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하여 계절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시령(時令)’, ‘절후(節候)’라고도 한다. 춘하추동의 각 계절은 입춘(立春)·입하(立夏)·입추(立秋)·입동(立冬)의 4개의 절기로 시작되고 있으며, 다시 절(節)과 중(中)으로 분류되어 입춘을 비롯한...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거행하는 풍속. 설은 음력 1월 1일을 말하는데, 한 해가 시작되는 날, 새해의 첫날이라 하여 ‘설날’, ‘원일(元日)’이라고도 부른다. 원래 설이란 삼간다는 말로, 설이 돌아오면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하고 조심스럽게 행동하면서 각 가정 단위로 조용히 보낸다. 이러한 설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 가운데 하나이다. 새해를...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과 1월 15일에 행하는 풍속. 정월 보름을 대보름이라 하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 한다. 지금은 큰 명절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많지만, 농경을 위주로 한 우리나라에서는 설이나 추석 못지않게 성대하게 보냈다. 대부분의 세시 풍속이 대보름날을 전후하여 집중되어 있다. 무주 지역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오곡밥을 지어 조상 차례를...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음력 2월에 영등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풍속. 영등(靈登)은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무주 지역에서는 2월 초하룻날이 되면 영등이 내려왔다가 보름날·스무날·그믐날에 올라간다고 한다. 영등을 ‘이월할매’, ‘영동할매’라고도 부른다. 무주군에서는 영등이 음력 2월 초하루에 내려와서 스무날에 하늘로 다시 올라간다고 하여, 이 시기에 각...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3월 3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 음력 3월 3일은 ‘삼짇날’로, 강남 간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 하여 봄기운이 왕성한 때이다. 무주 지역에서는 이날 가정에서 용왕제를 모시거나 쌀을 조금씩 걷어서 떡을 만들어 먹고, 갓난아이의 배냇머리를 깎아서 물에 띄우는 등 다양한 풍속이 전해진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 보면 “진달래꽃을...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5월 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 단오는 양의 수인 5가 겹치는 날로서, 일 년 중에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다. 따라서 단오는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꼽는데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午節)’, ‘단양수리’ 등으로도 불린다. 단오는 보리농사를 많이 짓는 중부 이북 지방에서 추수 감사제로 생각하여 큰 명...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 백중은 음력 7월 15일로, 온갖 곡식이 마련되는 때라서 ‘백종(百種)’으로 적기도 한다. 백중은 일 년을 반으로 나눌 때 처음 시작되는 달이 있기 때문에, 대보름을 상원이라 부르는 것에 반해서 중원(中元)이라고 한다. 무주 지역에서는 백중날에 제사를 모시지는 않으나 여자들이 논이나 밭에 나...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매년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풍속. 추석(秋夕)은 음력 15일로 설과 함께 대표 명절의 하나이다. 추석은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가윗날’, ‘가위’, ‘가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추석을 “더도 덜도 말고 이날만 같아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풍성한 시기에 쇠는 명절인 만큼 추수 감사제적인 성격이 짙...
-
전라북도 무주 지역에서 24절기 가운데 1년 중 밤이 가장 긴 시기에 거행되는 풍속. 동지(冬至)는 24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기로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이고, 음력으로는 11월에 해당하므로 ‘동짓달’이라 주로 부른다. 동지는 ‘작은설’, ‘아세(亞歲)’라고도 한다. 동짓날은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태양의 운행의 시발점이므로 이날의 행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