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1225 |
---|---|
한자 | 黃富者-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
집필자 | 김선아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에서 도깨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황 부자의 집터」는 외딴 산골에서 외롭고 가난하게 살던 황 노인이 도깨비와 말동무가 되어 도깨비를 통해 부자가 되었다는 치부담(致富談)이자 도깨비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황 부자의 집터」는 1992년 김경석이 편찬하고 무주군에서 간행한 『내 고장 전설집』의 148~149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장소와 채록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내용]
옛날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탄방 마을 뒷산 외딴집에 황씨 노인이 살고 있었다. 산비탈을 일구어 농사를 지으며 가난하고 외롭게 살던 노인은 어느 날 보름달이 비추자 잠을 이룰 수가 없어 마당을 서성거렸다. 황 노인은 달을 바라보며 말동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고 혼자 중얼거렸는데, 이 말을 들은 도깨비가 황 노인을 찾아왔다. 무서워진 황 노인은 빨리 방으로 들어가 문을 잠갔다. 도깨비는 자신이 말동무가 되어 주겠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는데, 얼굴이 온순했고 이야기를 재미나게 잘해서 황 노인은 방문을 열고 도깨비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 후 밤마다 도깨비가 찾아와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돌아갔고, 황 노인은 매일 밤 도깨비를 기다렸다. 그러다 문득 황 노인은 도깨비와 친하면 도깨비를 닮게 된다는 옛 어른의 말이 떠올랐다. 인간 친구가 없어서 외롭게 생활하는데 도깨비까지 닮게 되면 친구 사귀기가 더 어려워질까 봐 도깨비를 멀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황 노인이 도깨비에게 싫어하는 것이 뭐냐고 물으니 도깨비는 ‘말의 피’라고 대답했다. 도깨비도 황 노인에게 싫어하는 것이 뭐냐고 물었고, 황 노인은 ‘돈’이라고 대답했다. 황 노인은 다음날 집 주변에 말의 피를 뿌려 도깨비가 더 이상 찾아오지 못하게 했다. 화가 난 도깨비는 황 노인의 말을 기억하고 복수하기 위해 돈을 가져다 마당에 던져 놓고 갔다. 황 노인은 좋은 친구였던 도깨비가 찾아오지 않을 것이 서운했다. 도깨비는 그 후로 다시 오지 않았고, 황 노인은 도깨비가 가져다 준 돈을 가지고 마을에 내려와 살았다. 마을 사람들은 황 노인이 살았던 외딴집을 황 부자 집터, 도깨비 집터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황 부자의 집터」의 주요 모티프는 ‘도깨비와 절교하기’, ‘도깨비 속이기’ 등이다. 한국 설화에 등장하는 도깨비는 사람에게 해를 끼치기보다는 사람에게 반복해서 속는 어리석은 모습을 지녔거나 사람을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처음에 황 노인은 외로워서 말동무를 찾았는데 막상 도깨비가 말동무를 해 주어 외로움을 덜게 되자 자신의 모습이 도깨비를 닮아 가 인간 친구를 못 사귀게 될까 봐 염려하여 도깨비와 절교하는 방법을 찾는다. 도깨비와 절교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싫어하는 것이 돈이라고 도깨비를 속인다. 그 결과 재산도 많아지게 된다. 「황 부자의 집터」에서 도깨비는 황 노인이 외딴 산골짜기에서 지낼 때는 황 노인의 외로움을 달래 주는 벗이었다. 절교 후에는 황 노인이 도깨비가 가져다 준 돈으로 마을에 내려가 사람들과 어울려 살 수 있게 하여 황 노인을 근본적인 외로움에서 구원해 주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