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해남문화대전 > 해남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생활 > 주생활
-
전라남도 해남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 영위하는 삶의 특징. 조선시대 살림집은 거주자의 신분과 경제력에 의해 그 규모와 형식이 거의 결정되었다. 즉 주로 농업에 종사했던 일반 백성의 집과 주로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 부를 누린 상류층 집으로 크게 양분되어 나타난다. 두 유형은 대체로 볏짚과 기와라는 지붕 재료가 우선 눈에 띄기 때문에 일반인도 쉽게 구별할 수 있고 건물 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대흥사 입구에 건립된 전통 한옥 여관. 유선관(遊仙館)은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입구에 있다. 대흥사는 6세기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지방 고찰로 2018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선관은 본래 대흥사를 찾는 수도승이나 방문객의 숙소로 지어진 건물이었으나 1970년대부터 일반 여관으로 사용하...
고택
-
전라남도 해남군 일원에 있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 사이에 건립된 상류층 가옥. 전라남도 해남군 일원에 있는 상류층 가옥은 조선 후기 이후로 근대에 이르는 사이에 건립되었다.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은 양반가 고택으로, 경기도에서 옮겨와 중부 지역 특징인 미음(ㅁ) 자형 배치 구조이다. 해남 공재 고택, 해남 윤철하 고택, 해남 정명식 가옥, 해남 민정기 가옥은 양반...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씨 문중 상류 주택. 해남 공재 고택(海南恭齋古宅)은 조선시대 최고 자화상을 그린 공재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가옥이다. 윤두서는 겸재(謙齋) 정선(鄭敾),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과 함께 조선 후기의 3재로 일컬어지는 선비화가로 고산 윤선도(尹善道) 증손이다. 1670년(현종 11) 건립되어...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백야리에 있는 1807년 건립된 가옥. 해남 민정기 가옥은1807년(순조 7) 민정기의 6대조 민형현(閔亨顯)이 건립한 가옥이다. 현재 안채, 사랑채, 사당, 문간채 등 조선 후기 상류층의 주생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청사정(淸斯亭)이란 당호를 갖고 있는 사랑채는 여흥이씨(驪興李氏) 집안에서 167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전하나...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개항기 주택. 해남 연동리(海南蓮洞里) 윤재운 고택은 조선시대 승지 벼슬을 한 윤재운의 증조할아버지가 건립한 가옥이다. 안채의 상량문에 ‘동치십일년임신이월십삼일(同治十一年壬申二月十三日)’이라는 상량문이 있어 1872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건물은 안채와 문간채만 남아 있다. 해남 연동리 윤재운 고택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에 있는 개항기 해남윤씨 문중의 주택. 해남 윤철하 고택(海南尹哲夏古宅)은 윤철하가 1906년 안채를 건립하였고, 가옥의 이름을 해남 윤철하 고택으로 하였다. 윤철하는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일곱째 아들의 후손으로, 해남 윤철하 고택이 있는 초호리는 윤두서 후손들의 씨족 마을이다. 안채 이외에 별당채[19...
-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에 있는 개항기 상류층의 주택. 해남 정명식 가옥(海南鄭明植家屋)은 과거 마을에서 이참판댁으로 불렸던 가옥이다. 사랑채에 ‘숭정기원후오회갑신미(崇禎紀元後五回甲辛未)’라는 상량문이 있어 1871년(고종 8)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 소유자 정명식(鄭明植)이 1960년대에 구입하였다. 현재는 문간채와 사랑채[현 살림집] 만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