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옥녀봉 토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09
한자 海南玉女峰土城
영어공식명칭 Haenam Oknyeoh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창리 산46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신동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 - 해남 옥녀봉 토성 목포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3년 - 해남 옥녀봉 토성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에서 재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2001년 11월 15일연표보기 - 해남 옥녀봉 토성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
소재지 해남 옥녀봉 토성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창리 산46 지도보기
성격 산성
지정 면적 22,596㎡
관리자 해남군
문화재 지정 번호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옥녀봉 정상에 있는 마한 또는 백제 시기의 산성.

[개설]

해남 옥녀봉 토성(海南玉女峰土城)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삼산면 창리·신흥리의 경계에 있으며, 마한 또는 백제 시기에 쌓은 성으로 추정된다.

[위치]

해남 옥녀봉 토성은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와 삼산면 창리·신흥리의 경계에 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녹산(綠山) 고성은 현의 남쪽 10리[약 3.93㎞]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해남 옥녀봉 토성은 2002년 국립목포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 정상과 성벽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한 결과 흙과 돌로 쌓은 성이며, 옥녀봉은 3~4세기 조성한 산성으로 추정된다. 2013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에서 해남 옥녀봉 토성을 조사하여 기존의 발굴 조사에 나타난 토성의 형식인 포곡식과 테뫼식이 혼합된 복학식 또는 포곡식을 테뫼식 산성으로 추정된다고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해남 옥녀봉 토성에서는 삼국시대의 회청색 경질토기와 적갈색 연질토기 등이 발굴되었다.

[현황]

해남 옥녀봉 토성은 기존의 발굴 조사에서는 옥녀봉 정상에서 시작하여 북쪽 산기슭의 성뫼봉[黃山]과 서쪽 산기슭의 매봉을 연결한 포곡식과 테뫼식이 혼합된 복학식 또는 포곡식 산성으로 보고되었다. 2013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옥녀봉을 중심으로 북서쪽과 남동쪽 평탄한 지대의 둘레를 에워싼 테뫼식 산성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하였다. 해남 옥녀봉 토성은 석축 및 토축이 혼합된 형식이다. 북쪽 산기슭의 성뫼봉에는 후대에 쌓은 것으로 보이는 석축성이 남아 있다. 특히 수리재에서 옥녀봉에 이르는 계곡은 3단 정도의 계단식으로 축성·보완하고 있다. 수리재 정상의 붕괴된 단면에서는 패각층과 함께 토축의 흔적이 보인다. 하단의 계단식 성벽에는 석심토축의 형식이 나타난다. 성터가 해남읍성의 남쪽에 있어 죽산성과 함께 외성의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옥녀봉 정상에서 수리재까지의 성축은 현재 높이 1.9m, 폭 3.5m, 길이 166m로 토축 위에 석축의 흔적이 약간 남아 있다. 그 밖의 성축은 수풀이 우거져 있다. 옥녀봉 정상에는 장대지(長臺址)로 보이는 사각형의 석축 흔적과 아래의 구릉지에도 석축의 구조물들이 있다. 수리재 정상에 노출된 패각층의 범위는 폭 2m, 높이 5m 정도이다. 패각총은 철기시대 이후의 것으로 회청색 경질토기와 적갈색 연질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따라서 출토 유물이나 성의 축조 방법 등으로 미루어 해남 옥녀봉 토성은 마한이나 백제시대의 성터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해남 옥녀봉 토성은 해남에서 가장 오래된 토성이다. 출토 유물이나 성의 축조 방법으로 보아 마한 내지는 백제의 토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성 시기가 늦어도 3세기 이전에 축조되었다는 설도 있다. 3세기 이전에 축조가 역사적 고증이 되면 남한에서 가장 빠른 유적의 하나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마한의 무덤 양식인 옹관묘가 옥녀봉 인근 마을에서 다량 발굴되고 있다는 점에서 해남 옥녀봉 토성은 신미제국이 축성한 산성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