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로구에 들어선 문화 공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A030203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다일

2010년 4월, 1973년 설립 이후 서울 종로구 대학로를 지켜 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구로구 구로동으로 이전했다. 구로구가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하는 신호탄이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연간 800억 원의 예산으로 국내 문화·예술계를 지원하는 기관이다.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하는 기관이 구로구로 이전한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구로구는 2006년 전체 예산의 3.9%를 문화 분야에 썼다. 68억 원에 이르는 돈이었다. 이후로도 문화 관련 예산은 늘어났다. 2009년에는 전체 예산의 7.3%에 달하는 223억 원을 문화 분야에 썼다. 또한 구로구에서 직접 ‘구로문화재단’을 만들었다. 2008년부터는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을 운영하면서 지역 발전을 꾀하고 있다.

[공장 지대에서 문화의 중심지로 변화하다]

구로구 지역은 2000년대까지 구로공단의 이미지가 너무나도 강했다. 구로동 하면 으레 공장 지대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았다. 그래서 2004년 10월에는 지하철역 ‘구로공단역’도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바꾸었다.

‘G밸리’라고 해서 첨단 산업 지구의 이미지도 갖췄다. 지역이 세련된 산업으로 발전하니 문화에 대한 지역민들이 욕구도 커졌다. 서울 서남권인 구로구에서 연극이나 뮤지컬 공연 같은 문화생활을 하려면 대학로나 홍익대학교 앞까지 나가야 했다. 그래서 구로구에서는 주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노력을 했고, 실제로 그 이상의 문화·예술에 대한 투자로 이어졌다.

2000년 초반부터 신도림동구로동을 비롯해 공장 지대가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신도림역대림역 사이 교각 아래에는 ‘9로로 노리단’이 자리 잡았다. 9로로 노리단은 산업화의 아이콘인 금속 기계 부품을 이용해 연주를 하는 예술 단체로, 구로구의 기업들과 연계해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이렇듯 구로구가 문화·예술의 도시로 발전하는 이유는 ‘컬처 노믹스’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문화와 산업, 경제를 연계하는 것이다.

[기업과 지역이 문화로 상생하다]

2000년대 초반 아파트형 공장을 중심으로 한 IT 기업 유치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젊은 인구가 유입되면서 한때 공동화 현상을 보이던 구로동이 다시 활기를 찾았다. 구로에 남아 있는 넓은 창고 같은 공간은 예술 활동의 보금자리로 변화했다. 그 중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은 구로를 대표하는 예술 공간이다. 해외의 유명 음악가를 초청해 공연하는가 하면 한 발 더 나아가 지역의 아이들이 유명 음악가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일명 ‘꿈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또한 직장인들이 많은 구로에서는 점심시간을 이용해 ‘소화제 콘서트’라는 이색 공연도 펼친다. 역시 구로구에 있는 제약 회사의 도움으로 이뤄지는 공연이다. 문화와 기업이 다양하게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이렇게 지역의 기업과 문화 단체가 힘을 합치자 상생이 이루어졌다. 구로구에서 운영하는 ‘구로아트밸리’는 지역의 소규모 예술 단체와 손을 잡았다. 재정 자립도가 낮은 단체에는 공연장을 무료로 제공해 주기도 하고 예술 단체와 함께 지역의 병원, 기업을 찾아가 공연을 펼치기도 한다. 인근 학교에는 ‘서울레이디스싱어즈’ 단원들과 함께 합창단 교육도 진행한다. 굴뚝 공장으로 알려진 구로가 경제·산업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면에서도 크게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구로구청(http://www.gur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