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전충효 세수인경」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0379
한자 家傳忠孝世守仁敬
영어음역 Gajeonchunghyo Sesuingyeong
영어의미역 The Copy of Sejong's Writi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안홍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필을 모사한 글
제작시기/일시 15세기 전반
작가 세종
소장처 전의이씨 문중
소유자 전의이씨 문중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구 전의이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세종이정간에게 내린 어필을 모사한 글.

[개설]

이정간(李貞幹)[1360~1439]은 전의이씨로 자는 고부(固夫), 시호는 효정(孝靖)이다. 사헌부 요직과 내외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강원도관찰사로 재임하던 중, 100세의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사직하고 향리에 은거하였다. 특히 자신도 80세의 노령이면서 어머니 앞에서는 색동옷을 입고 병아리를 희롱하여 어머니를 즐겁게 하는 등 하늘이 내린 효자로 이름을 날렸다. 세종이 이 사실을 알고 이정간의 품계를 정2품으로 올리고, 노모는 정대부인(貞大夫人)으로 봉하였다. 이때 이정간에게 궤장(几杖)을 하사하고 어필을 내렸는데 이는 후대에 전의이씨의 가훈이 되었다.

[형태 및 구성]

세종의 어필은 고(故) 이정로(李正魯) 가족이 보관하고 있는 전의이씨 족보에서 발견되었다. 이 족보의 권두에 ‘「가전충효 세수인경」(家傳忠孝世守仁敬)’ 여덟 자가 넉 자씩 두 줄로 적혀 있다. 풀이하면 “충과 효를 가문에 전하고, 어질고 공경하는 정신을 대대로 지켜 나가라.”라는 뜻이다.

[특징]

처음부터 이 족보에 새겨진 글씨가 세종의 친필이라 여겨진 것은 아니다. 이정간을 배향한 충청북도 청주 송천서원(松泉書院)에 있는 『서원행록(書院行錄)』에 “세종대왕은 친필로 ‘「가전충효 세수인경」’이라는 여덟 자를 정간에게 내렸다.”라는 내용을 보고 조선어학회 이극로(李克魯)가 1937년에야 족보를 확인하여 어필을 찾아내었다. 족보에 수록된 어필은 세종대왕의 친필로 추정되는 ‘세종대왕어사희우정효령대군방문(世宗大王御賜喜雨亭孝寧大君房文)’와 같은 필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 세종의 글씨가 아니라 모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비록 세종이 하사한 필적의 모사이나 서체 그대로 보존되고 있어 가치가 높다. 전의이씨 문중 후손들은 이 어필을 가훈으로 전해 족보 권두에 새겨 그 정신을 이어받고 있는데, 그 뜻 또한 훌륭하여 다른 가문에서도 이 여덟 자를 가훈으로 삼기도 한다. 이 문구를 붓글씨로 쓰거나 모각하는 사례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