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씻김굿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1153
한자 海南-
영어공식명칭 Haenam ssitgimgut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기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

[정의]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무속 의례.

[개설]

전라남도 해남군을 비롯한 전라도 지역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례로서 씻김굿이 전승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죽은 이를 천도하는 무속 의례를 오구굿·오귀굿·진오귀굿 등으로 부르는 지역이 많은데, 전라도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을 씻어 준다는 의미가 강조되어 씻김굿으로 불린다.

해남 씻김굿은 무속 의례로, 전문 사제자(司祭者)인 당골[무당]이 주관하고, 죽은 이의 직계자손과 친척·지인·이웃 등이 함께 모인 상태에서 진행된다. 의례의 과정은 크게 가택신과 조상신을 비롯한 다양한 신을 불러 모시는 과정, 죽은 이의 영혼을 달래고 씻어서 저승으로 천도하는 과정, 신과 망자를 배송하며 굿을 맺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연원 및 변천]

씻김굿은 죽은 사람을 저승으로 천도하기 위한 무속 의례로서 오래된 전통을 지니고 있으나, 기록물로 남지 않고 구술과 행위로 전승되어 왔기 때문에 구체적인 연원을 밝히기는 어렵다. 무속은 불교와 유교가 공식 종교를 들어서기 이전부터 존재하던 토착 신앙이자 종교 형태이기 때문에 무속 의례인 씻김굿 또한 오래된 연원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해남 씻김굿은 전승 과정에서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왜냐하면 천신(天神)에 해당하는 제석신을 중의 모습으로 표현하거나, 사설에서 ‘나무아미타불’ 등의 불교적 내용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당/신체의 형태]

해남 씻김굿은 죽은 이와 가족이 거주하던 집에서 하는 것이 전통인데, 근래에는 가정집에서 준비하고 진행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아 굿당이나 장례식장에서 행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 집에서 의례를 할 경우 굿의 절차에 따라 장소가 변경된다. 조왕신을 대상으로 하는 조왕굿은 부엌에 상을 차려 진행하고, 조상신과 가택신을 대상으로 하는 안당과 선부리는 마래[마루]나 안방에서 진행하며, 주된 연행 절차는 마당에서 진행한다. 그리고 굿을 마치는 퇴송은 대문 밖에서 진행한다.

굿에는 여러 신이 모셔지지만 신체가 명확하게 제시되는 대상은 죽은 이이다. 굿을 할 때마다 죽은 이를 상징하는 ‘넋’을 제작하는데, 넋은 20~30㎝ 길이의 사람 모양을 오린 흰색 종이 모형으로, 굿청 전면에 부착해 두었다가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된다.

[절차]

해남 씻김굿의 절차는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구성된다. 바다에서 죽은 이의 영혼을 천도하려면 씻김굿을 하기 전에 혼을 건지는 절차가 추가되며, 죽은 이의 사후 영혼결혼식을 한다면 씻김굿에 결혼식 절차가 포함된다. 또 죽은 이의 죽음이 정상적이지 않거나 비극적일 경우 ‘진굿’이라 하여 조왕굿이나 제석굿 등의 절차가 생략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공유되는 씻김굿 절차를 소개한다.

부정: 무녀가 혼자 징을 치며 부정을 가시는 사설을 가창한다.

안당: 마래나 안방에서 무녀가 혼자 징을 치며 조상과 가택신에게 굿의 시작을 알린다.

선부리: 무녀가 지전[돈 모양으로 오린 종이]을 들고 서서 조상을 불러 모시며 굿을 한다.

오구물림: 굿청으로 자리를 옮겨 바리데기 서사무가를 가창하고 명실복실당기기를 하며 죽은 이의 죽음을 위로한다.

제석굿: 무녀가 제석신을 상징하는 고깔과 장삼을 착용하고, 제석신의 노정기를 가창한 후 산 사람들의 복덕을 축원한다.

손님굿: 마마[천연두]를 옮기는 손님을 불러 모시고 가족의 건강을 기원한다.

넋올리기: 무녀가 죽은 이를 상징하는 넋을 들고 가족의 머리에 놓았다 들어 올리며 죽은 이의 죽음을 위로한다.

고풀이: 긴 무명베를 매듭으로 묶었다가 풀면서 죽은 이의 맺힌 한을 풀어 준다.

씻김: 넋과 죽은 이의 옷 등으로 말아서 영돈[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을 만들고, 쑥물·향물·맑은 물로 죽은 이를 정화한다.

길닦음: 무명베를 길게 펼쳐 죽은 이의 저승길을 표현하고, 그 넋이 담긴 넋당석[씻김굿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보낼 때 그 영혼을 싣고 간다고 여기는 무구]으로 그 위를 왕복하며 축원한다.

퇴송: 굿에 사용된 도구와 죽은 이의 옷 등을 불태우면서 신과 죽은 이를 모두 배송한다.

[현황]

해남 씻김굿은 전통 단절의 위기에 처해 있다. 과거에는 교회나 성당처럼 몇 개의 마을을 관할하던 당골판과 당골무당이 있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당골판이 해체되고 굿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굿의 전승력이 약화되었다. 현재는 극소수의 무속인들이 의뢰를 받아 굿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