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929 |
---|---|
한자 | 梨津里萬戶碑群 |
영어공식명칭 | Ijin-ri Manhobigun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2길 10[이진리 647-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수경 |
건립 시기/일시 | 1848년![]() |
---|---|
건립 시기/일시 | 1851년![]() |
건립 시기/일시 | 1861년![]() |
현 소재지 | 이진리 만호비군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2길 10[이진리 647-2]![]() |
성격 | 비|불망비 |
양식 | 석비 |
관련 인물 | 김관길|최상규|박경환 |
재질 | 석재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110㎝[이진만호 김관길 비 높이]|38㎝[이진만호 김관길 비 너비]|18㎝[이진만호 김관길 비 높이]|126㎝[이진만호 최상규 비 높이]|38㎝[이진만호 최상규 비 너비]|20㎝[이진만호 최상규 비 두께]|120㎝[이진만호 김관길 비 높이]|39㎝[이진만호 김관길 비 너비]|22㎝[이진만호 김관길 비 두께]|153㎝[이진만호 박경환 비 높이]|43㎝[이진만호 박경환 비 너비]|18㎝[이진만호 박경환 비 두께] |
소유자 | 해남군 |
관리자 |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진진성 만호들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4기의 비.
이진리 만호비군(梨津里萬戶碑群)은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있다. 조선 후기 이진진성 만호 박경환(朴慶煥), 최상규(崔祥奎), 김관길(金寬吉)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4기의 영세불망비이다.
이진리 만호비군은 박경환, 최상규, 김관길이 수군진성 이진성의 만호로 재직하면서 베푼 공로를 기려 1848~1861년 사이에 영세불망비를 건립하였다. 건립 주체는 알 수 없다.
이진리 만호비군은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북평중앙초등학교 이진분교 입구에 있다.
이진리 만호비군은 건립 시기에 따라 알아보면 이진만호 박경환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53㎝, 너비 43㎝, 두께 18㎝이다. 이진만호 최상규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26㎝, 너비 38㎝, 두께 20㎝이다. 이진만호 김관길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10㎝, 너비 38㎝, 두께 18㎝이다. 또 다른 이진만호 김관길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120㎝, 너비 39㎝, 두께 22㎝이다.
이진리 만호비군의 금석문을 살펴보면 이진만호 박경환 비는 앞면 가운데에 ‘만호박공경환영세불망비(萬戶朴公慶煥永世不忘碑)’라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도광이십팔년 술신□□ □(道光二十八年 戌申□□ □)’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도광 28년은 1848년(헌종 14)이므로 1848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이진만호 최상규 비는 앞면 가운데에 ‘만호최공상규영세불망비(萬戶崔公祥奎永世不忘碑)’라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신해칠월 일(辛亥七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신해년은 1851년(철종 2)이므로 1851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이진만호 김관길 비는 앞면 가운데에 ‘행만호김공관길영세불망비(行萬戶金公寬吉永世不忘碑)’라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신유칠월 일 립(辛酉七月 日 立)’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신유년은 1861년(철종 12)이므로 1861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이진만호 김관길 비는 앞면 가운데에 ‘행만호김공관길영세불망비(行萬戶金公寬吉永世不忘碑)’라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함풍십일년 칠월 일 소안도 중립(咸豐十一年辛酉 七月 日 所安島 中立)’이라는 연기와 건립 장소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함풍 11년은 1861년(철종 12)이므로 1861년 소안도에 세웠다가 나중에 북평면으로 옮겨 온 것이다.
원래 농협창고 옆에 있었다는 비석 4기가 북평중앙초등학교 이진분교 입구로 옮겨져 이진리 만호비군을 조성하고 있다. 비지정문화재이나 해남군이 관리하고 있으며, 관리 상태도 양호하다.
이진리 만호비군은 이진성의 만호로 재직한 역대 만호들이 이진 수군진에서 펼친 행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비석이 잘 보관되어 조선 후기 만호의 불망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