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636
한자 尹斗緖
영어공식명칭 Yoon Duseo
이칭/별칭 효언(孝彦),공재(恭齋),종애(種涯)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윤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68년연표보기 - 윤두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93년 - 윤두서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04년 - 윤두서 「춘지세마도」·「석양수조도」·「유림서조도」 그림
활동 시기/일시 1706년 - 윤두서 「탁목백미도」·「획금관월도」 그림
활동 시기/일시 1708년 - 윤두서 「모옥간월도」·「수변누각도」·「신선위기도」·「수변공정도」·「조어도」 그림
활동 시기/일시 1707년 - 윤두서 「송함망양도」 그림
활동 시기/일시 1710년 - 윤두서 심득경 영정 「정채처사심공진」 그림
활동 시기/일시 1711년 - 윤두서 「우영산수도」 제작
활동 시기/일시 1714년 - 윤두서 「수하휴게도」·「노승의송하관도」 그림
몰년 시기/일시 1715년연표보기 - 윤두서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12월 26일 - 윤두서 자화상 국보 제240호로 지정
출생지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서울특별시
묘소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370-1 지도보기
성격 문인|화가
성별
본관 해남(海南)

[정의]

조선 후기 해남 출신의 문인이자 화가.

[개설]

윤두서(尹斗緖)[1668~1715]는 정선(鄭敾), 심사정(沈師正)과 함께 조선 후기 삼재로 손꼽힌 문인화가이다. 당시 중국의 영향 속에 있던 회화의 굴레에서 벗어나 사실주의와 풍속화라는 새로운 화풍을 개척하였다.

[가계]

윤두서의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자는 효언(孝彦), 호는 공재(恭齋) 또는 종애(種涯)이다.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의 증손자이다. 윤이후(尹爾厚)[1636~1699]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큰아버지인 종손 윤이석(尹爾錫)[1626~1694]에게 입양되었다. 아들 윤덕희(尹德熙)[1685~1776]와 손자 윤용(尹愹)[1708~1740] 또한 윤두서의 화풍을 이어 명성이 높았다.

[활동 사항]

윤두서는 1693년(숙종 19)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해남윤씨 집안이 속한 남인 계열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매진하였다. 이서(李潊)·이익(李瀷) 형제, 심득경(沈得經) 등과 교유하였는데, 이들과의 교유로 인해 현실을 날카롭게 직시하고 개혁을 추구하는 학문적 발판을 만들었다. 유고인 「기졸(記拙)」을 보면 병법, 음악, 의학, 경제, 천문학, 기술 등 현실적인 측면까지 관심을 확대했음을 알 수 있어 박학다식(博學多識)함을 추구하였던 윤두서의 학문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윤두서는 또한 이서와 더불어 영자필법(永子筆法)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옛 전체(篆體)와 팔분법이 근세 이래 쇠퇴하여 볼만한 것이 없자 진한(秦漢) 이래 간행된 금석문자를 많이 수집·연구하여 독자적인 서체를 체득하였다.

윤두서는 산수화, 도석인물화, 풍속화, 동물화, 화조화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그렸는데, 특히 말과 인물화를 잘 그렸다고 한다. 대표작은 현실과의 괴리감에서 나오는 지식인의 내면적 갈등을 비장하게 표현한 「자화상(自畵像)」이다. 또한 실학사상의 일면을 보여 주는 「선차도(旋車圖)」, 「돌깨기」, 나물 캐는 여인을 그린 「채애도(採艾圖)」 등의 풍속화는 이후 김홍도(金弘道)와 신윤복(申潤福) 등이 꽃피운 18세기 풍속화의 출발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윤두서는 1715년(숙종 41)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윤두서의 저서로는 『기졸(記拙)』과 『화단(畵斷)』이 있다. 작품으로는 「자화상」, 「채애도」, 「선차도」, 「백마도(白馬圖)」 등이 『해남윤씨 가전 고화첩』에 묶여 전한다. 이 화첩은 산수(山水), 산수인물(山水人物), 영모(翎毛), 화조(花鳥), 초충(草蟲), 도석인물(道釋人物), 화훼도(花卉圖) 등 60여 점의 소품으로 꾸며져 있다. ‘해남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이라는 명칭으로 보물 제481호로 지정되었으며, 「윤두서자화상」은 1987년 12월 26일 국보 제240호로 지정되었다. 그 밖에 「노승도(老僧圖)」, 「심득경초상(沈得經肖像)」, 「출렵도(出獵圖)」, 「우마도권(牛馬圖卷)」, 「심산지록도(深山芝鹿圖)」, 『십이성현화상첩(十二聖賢畵像帖)』 등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묘소]

윤두서의 묘소는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370-1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