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58
한자 海南孤山遺稿木板一括
영어공식명칭 Haenam Gosanyugo Mokpan Ilgwal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 130[연동리 10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윤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91년연표보기 -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 고산 윤선도 시문집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1999년 7월 5일연표보기 -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 130[연동리 102-1]지도보기
원소재지 녹우당 종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 135[연동리 82]지도보기
성격 목판
소유자 윤형식[녹우당 종손]
관리자 고산 윤선도 유물전시관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1791년 간행된 고산 윤선도의 시문집 목판.

[개설]

해남 고산유고 목판 일괄(海南孤山遺稿木板一括)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고산 윤선도(尹善道)[1587~1671]의 시문집으로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이 정조의 명을 받아 간행하였다. 이후 1798년(정조 22)에 전라감사 서정수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하였다. 1999년 7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고산유고(孤山遺稿)』의 목판 268매, 『고산유사』의 목판 7매, 『고산선생연보』 30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오칠언의 고시, 율시, 절구, 회문, 집고 등 250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병진소」 등 16편의 소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3의 상권에는 「국시소」 등 13편의 소와 「예설」 2편이, 하권에는 「상친정서」를 비롯한 17편의 서가 있다. 권4에는 「답이현풍서」 등 100편의 서가 있다. 권5에는 「여갑산백서」 등 21편의 서가 상권에, 13편의 축문, 「향사당조약」 1편, 4편의 서, 2편의 설, 비명 5편, 잡저 5편, 「산릉의」 11편, 잡록 3편, 기 2편이 하권에 실려 있다. 권6은 별집으로 상권에는 시 8편, 부 4편, 논 3편, 책 6편, 표전 4편이, 하권에는 ‘가사’라는 표제 아래 「산중신곡」, 「속산중신곡」, 「고금영」, 「증반금」, 「초연곡」, 「태안곡」, 「어부사시사」, 「어부사여음」, 「몽천요」, 「견회요」, 「우후요」 등 75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본편에는 「병진소」, 「국시소」 등 시정에 관한 상소문이 있고, 「예론서」, 「예론」 등 예학에 관한 논의와 「산릉의」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징]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의 목판 크기는 가로 49㎝, 세로 25㎝이고 변란은 사주쌍변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 세로 21.5㎝다. 반면은 10행이며, 1행에 21자씩 배자되어 있다. 판면의 왼쪽 1행에 ‘孤山遺稿(고산유고)’라는 권두서명이, 가운데 판심부에는 상어미 위쪽에 역시 ‘孤山遺稿(고산유고)’라는 판심서명이 있다. 어미의 안쪽으로 권수와 장수가 있고, 하어미(下魚尾) 아래로 편명(篇名)이 판각되어 있는 상하내향 흑어미의 특이한 형식이다.

[의의와 평가]

해남고산유고목판일괄은 전체적으로 빠진 목판이 없으며, 유고 안에 한글 가사가 들어가 있어 조선 시조문학의 대가인 고산 윤선도의 행적을 살필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조선시대 정치사, 사상사 및 당쟁에 관한 자료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별집에 실려 있는 시조는 우리나라 시가문학 연구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