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07
한자 梨津城址
영어공식명칭 Leejinseongji
이칭/별칭 이진진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122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신동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98년 - 이진성지 이진진 설치
폐지 시기/일시 1895년 - 이진성지 이진진 폐지
문화재 지정 일시 1988년 12월 21일연표보기 - 이진성지 전라남도 기념물 제120호로 지정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1년~2002년 - 이진성지 목포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진성지 전라남도 기념물로 재지정
소재지 이진성지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1227 지도보기
성격
지정 면적 910m[잔존 성벽 길이]
관리자 해남군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남도 기념물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석축성.

[개설]

이진성지(梨津城址)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석축성으로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있다. 1598년 이진진이 설치되면서 성을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진성지는 1988년 12월 21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12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변천]

이진진은 1598년(선조 31) 설진하여 1627년(인조 5) 만호진으로 승격하였다. 성은 이 시기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며 1895년(고종 32) 이진진이 폐진되면서 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위치]

이진성지해남군 북평면 이진리 이진마을 동쪽 해안가에 있다. 동쪽으로는 달도와 완도가 있는데 옛날에 제주도 출입 통제소였으며, 제주도 군마 및 사마(私馬)를 수송하는 중요한 요충지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기록을 보면 군 남쪽 120리[약 47㎞]에 있고 성은 돌로 쌓은 석성으로, 둘레는 1,470척[약 441m], 높이 8자[약 2m]이며 샘이 2개 있다고 전한다. 『문화유적총람』에는 둘레 2.5㎞의 성지로 1648년(인조 26) 만호[각 진에 배치한 종4품의 무관직]를 두어 성을 세웠고, 성 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입하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1~2002년 목포대학교 박물관이 이진성지에 남아 있는 성벽의 길이, 높이, 폭 등 당시 유적의 상태와 성내 마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황]

이진진성은 남북의 구릉지를 이용하여 성을 쌓은 것으로 타원형이다. 즉 남북으로 높고 가운데가 잘록하게 낮은 지형을 연결한 성으로서 잘록한 부분에 이진마을이 있으며, 구릉상의 분지 주변은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성안에는 두 곳의 샘과 객사, 동헌, 군기고 등의 건물이 있었다. 이진마을 도로를 개설할 때 성의 일부 석재가 이용되었으나 원형을 거의 유지하고 있다. 성벽은 내탁법[나지막한 야산을 이용하여 바깥쪽만 성을 쌓는 방식]에 의해 쌓았다. 성안에 이진마을이 있으며 마을의 통로로 이용되고 있는 부분은 동문과 서문 터이다.

폭 3m의 서문 터에는 길이 34m, 높이 5m, 폭 220㎝의 옹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서문 터 앞에는 목책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붕괴되고 남문 터에는 홈이 팬 초석이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은 총 940m이다. 동벽의 길이는 350m, 아래 폭은 390㎝, 위 폭은 130㎝, 높이는 200~270㎝이다. 서벽은 길이 280㎝, 아래 폭은 430㎝, 위 폭은 200㎝, 높이는 5m이다. 남벽은 길이 116m, 아래 폭 6m, 위 폭 4m, 높이 430㎝로 거의 무너져 있다.

농협창고 옆에 있었다는 비석 4기는 현재는 옛 이진국민학교 입구[북평중앙초등학교 이진분교(폐교)]로 옮겨져 있다. 비석은 ‘만호박공경환영세불망비’, ‘만호최공상규영세불망비’, ‘행만호김공관길영세불망비’가 있다. 2001년 해남군에서 이진성지 성곽 복원 공사를 실시하여 일부 성벽을 복원하였다. 2013년 전라남도가 ‘조선수군재건로’로 명명하여 역사스토리 테마길을 조성하였는데 이진성이 포함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진진성은 정확한 축성 연대는 추정할 수 없지만, 현재도 거의 원형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 중반의 축조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주변에 달마산 봉수와 달도선소, 이진마을의 민가와 관련하여 역사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