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지방 노동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407
한자 海南地方勞動運動
영어공식명칭 Labor Movement in Haenam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성환·이성운

[정의]

일제강점기 해남 지역에서 일어난 노동운동.

[개설]

일제강점기 노동자들은 식민지 민중의 구성원으로 억압받으면서 특정 계급의 일원으로 착취를 받는 이중의 굴레에 놓여 있었다. 노동운동은 민족차별에 반대하고 한편 일제에 의한 식민지적 착취와 종속에 반대하는 반일 민족해방을 지향하였다.

1920년대 전라남도에서는 목포·광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업이 발전하였다. 전라남도 지역은 1931년의 경우 공장이 150여 개로 경기도 다음으로 많았다. 이에 따라 1920년 전반에는 노동공제회·노동친목회·노동회·노동단·노동대회·노동조합 등 다양한 명칭의 노동운동단체들이 조직되었다. 1924년 3월 광주에 전라남도노동연맹이 창립되었고, 남조선노동동맹이 대구에서 결성되었으며, 조선노농총동맹이 서울에서 창립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해남 지역에도 노동단체들이 하나둘 설립되었다. 한편 해남 지역에는 촌전태길(村田太吉)의 규석광 광업권[북평면·현산면·송지면], 서촌양조(西村亮造)의 고령토 광업권[문내면], 일본 식마화학공업주식회사의 명반광[옥매산], 송중현(宋仲顯)의 금은광 광업권[화산면], 김병식(金炳植)의 금은광 광업권[산이면]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노동조합 설립과 노동동맹 조직]

해남 지역에 노농회, 노동조합, 노동동맹 등 노동단체들이 1924년과 1925년에 설립되었다.

삼산노동회는 1924년 5월 삼산면에서 설립되었다. 삼산노동회는 일제의 간섭으로 저지되었던 노동운동 관련 선언서 및 강령을 1924년 10월에 발표하였다. 선언서는 무산계급 해방운동을 목표로 노동자계급의 완전 해방과 자유 평등의 신사회 건설을 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를 위해 노동자들은 단결하여 자본계급에 대한 철저한 투쟁을 약속하며, 노동자계급과 자본계급은 양립할 수 없음을 확신하고, 자본가에게 끝까지 투쟁한 결과로 경제적 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북평노동조합(北平勞動組合)은 1925년 11월 26일 북평면 이진리 김대흥·이순재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북평노동조합은 노동야학부를 설립하여 50여 명의 노동야학생을 교육하였다.

이진노동동맹(梨津勞動同盟)은 1927년 2월 8일 이진 노동자 하정택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이진의 사립학교[동광학원] 내에서 이진노동동맹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회원은 100여 명에 달했고, 규칙 통과와 임원 선거를 한 후에 폐회하였다. 이진노동동맹은 “우리는 무산노동자의 단결을 도(圖)하고, 우리는 무산노동계급의 해방을 기하며 당면의 발전을 위하여 투쟁함”이라는 강령을 채택하여 노동운동을 하였다.

[의의와 평가]

해남 노동운동은 일제의 착취 구조 아래 무산계급 해방을 위한 노동자들의 단결과 저항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이다. 이러한 노동자와 지역 주민의 투쟁은 항일 민족운동으로 승화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