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에 있는 부석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동종. 불교에서 종교적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소리 내는 일체의 용구를 범음구(梵音具)라고 하는데, 부석사 동종은 범음구 중의 하나이다. 종은 당외(堂外)의 종루에 걸어 놓고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타악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는 청정한 불사(佛寺)나 범찰(梵刹)에서 사용하는 종을 범종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황락리에 있는 일락사에 소장되었던 조선 후기의 범종. 불교에서 종교적 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소리 내는 일체의 용구를 범음구(梵音具)라고 하는데, 그 중 종은 당외(堂外)의 종루에 걸어 놓고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타악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는 청정한 불사(佛寺)나 범찰(梵刹)에서 사용하는 종을 범종이라고 한다. 일락사 범종은 1926년에 발간된 『...
불상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 있는 불교의 예배 대상을 조성한 조각상. 불상(佛像)이란 불교의 교리에 의한 예배 대상을 석재나 금속 또는 흙이나 나무 등의 시각 매체를 통하여 조성한 조각상을 말한다. 엄격한 의미로는 붓다, 즉 여래(如來)의 존상만을 의미하나, 넓은 의미로는 보살상(菩薩像), 나한상(羅漢像), 조사상(祖師像), 천왕상(天王像), 명왕상(明王像) 등 불교 교리에서...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부석사(浮石寺)에서 일본 대마도(對馬島) 관음사(觀音寺)로 옮겨진 고려 후기 금동 관음보살 좌상. 현재 대마도 소장 금동관음보살좌상(對馬島所藏金銅觀音菩薩坐像)은 일본 대마도 소강이라는 포구의 작은 마을에 자리 잡고 있는 관음사 법당 내에 봉안되어 있다. 원래의 봉안 사찰은 서산시 부석면 도비산의 부석사인데, 고려 말 왜구의 노략질에 의해 현...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애정리 두우사(杜宇寺)에 있는 조선 후기 삼존 불상. 두우사 대웅전 삼존불상(杜宇寺大雄殿三尊佛像)은 모두 석조이며, 두우사 대웅전에 본존과 협시불로 봉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찰에서 모시는 불상과는 의궤(儀軌)가 달라 민간 신앙에서 미륵(彌勒)이라고 하여 모시는 불상으로 보인다. 두우사 대웅전 삼존불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文殊寺極樂寶殿)에 있는 조선 후기 십육 나한상. 나한(癩漢)이란 산스크리트 어[범어] ‘Arhan, Arahan, Arhat’의 한역으로 아라한(阿羅漢)의 준말이다. 불법을 호지하는 수행자로서의 나한은 미륵이 이 세상에 출현할 때까지 남아 중생을 제도하는 임무를 지니고 있다. 문수사 극락보전 십육나한상(文殊寺極樂寶殿十六羅漢像...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文殊寺極樂寶殿)에 있는 고려 후기 금동 여래 좌상. 문수사 금동여래좌상(文殊寺金銅如來坐像)은 문수사 극락보전[충청남도 유형 문화재 제13호]에 안치된 고려 후기의 단아한 금동불 좌상이다. 조성 연대는 발원문 중 ‘대원지정육년병술구월초팔일(大元至正六年丙戌九月初八日)’이라는 기록을 통해 1346년(충목왕 2)임을 알...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문양리 까치절에 있는 석불 입상. 문양리 까치절 석불입상은 요사채와 대웅전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사찰인 까치절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석불은 높이 210㎝, 어깨 폭 70㎝, 몸통 둘레 약 380㎝로 비교적 넓은 판석재(板石材)를 이용하여 몸체의 앞면만 음각으로 표현하였다. 머리 부분에는 나발(螺髮)과 육계(肉髻)가 표현되어...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반양리 미륵사에 있는 조선 시대 미륵불. 반양리 미륵불(磻陽里彌勒佛)은 원래 들에 세워진 마을 미륵이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초가집에서 슬레이트집으로, 그리고 2011년 현재는 화려한 사찰 속으로 들어간 미륵이다. 현재는 서산시 해미면 반양리 미륵사의 용화전 안에 안치되어 있다. 당초에는 서산시 해미면 반양리 반계마을 황성순의 집 마당가...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에서 출토된 고려 시대 철조 여래 좌상. 보원사지 출토 고려시대 철조여래좌상(普願寺地出土高麗時代鐵造如來坐像)은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의 서산 보원사지에서 1918년 3월에 조선총독부 박물관으로 옮겼고, 반출 직후 경복궁 근정전(景福宮勤政殿) 회랑에 봉안되었다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불교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 인근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 여래 입상. 보원사지 출토 금동여래입상(普願寺址出土金銅如來立像)은 1968년 4월 서산 보원사지를 발굴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는데, 서산 보원사지의 중심에서 남쪽으로 약 200m 거리에 있는 경작지에서 출토되었다. 서산시에 거주하는 장세환이 운산면 용현리 거주민 장유...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에서 출토된 통일 신라 시대 철제 여래 좌상. 보원사지 출토 통일신라 철제여래좌상(普願寺址出土統一新羅鐵製如來坐像)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철불로, 아름답고 완벽한 주조 기술을 자랑하는 불상이다. 해외에서 열린 ‘한국 미술 5000년전’ 전람회 때에도 출품되었던 한국 미술사의 대표적인 철불이라고...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 부석사 극락전(浮石寺極樂殿)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부석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여래좌상(浮石寺極樂殿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1689년(숙종 15) 왕자 이균(李畇)이 태어났을 때 서원을 세우면서 제작된 목조 불상이다. 원래 홍성군 홍북면 신경리 용봉산에 있는 용봉사(龍鳳寺)에 봉안되어 있었다. 1905년(고종 42) 풍...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읍 산수리에 있는 조선 시대 미륵불. 산수리 미륵불(山水里彌勒佛)은 원래 서산시 해미읍 산수리의 산수저수지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것을 원효봉 서남쪽 산기슭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산수리 미륵불 좌우에는 약사여래상과 지장보살상이 모셔져 있는데, 2001년 이후에 조성된 것이다. 높이 230㎝, 폭 90㎝, 두께 50㎝의 상으로, 머리엔 문양이...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 간월암(看月庵)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보살 좌상.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瑞山看月庵木造菩薩坐像)은 크기가 작은 편에 속하지만, 역사는 오래되어 간월암을 창건한 승려 무학(無學)[1327~1405]이 조성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의 뒤쪽에는 가섭존자(迦葉尊者)와 아난존자(阿難尊者), 그리고 4대 보살[...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開心寺)에 있는 고려 후기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은 본래 무량수전, 미타전, 아미타전 등의 전각에 봉안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개심사 대웅보전(開心寺大雄寶殿)의 경우는 석가여래 대신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을 봉안하고 있어 예외성을 보여 주고 있다. 더불어 아미타여래는 보통 양 협시 보살로 관음보살이나 대세지보살...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에 있는 문수사 금동여래좌상(文殊寺金銅如來坐像)에서 발견된 고려 시대 복장 유물.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 유물(瑞山文殊寺金銅如來坐像腹藏遺物)은 1973년 12월 17일 문화재관리국의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2008년 8월 28일 보물 제1572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수덕사 근역성보관에 소장되어 있다. 충청남도 유형 문화...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서산 문수사 소조 나한상 일괄은 보살상 2구, 제석천 2구, 나한상 16구 등 20점의 불상이다. 작은 규격이지만 짧은 신체 비례에 해학미가 뛰어난 나한상 등이 특징으로 조선 후기 십육 나한상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있는 상이다. 2011년 7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417호로 지정되었다....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있는 고려 후기 석불 입상. 서산 여미리 석불입상(瑞山余美里石佛立像)은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이문안마을 야산 아래에 서 있는 석불 입상으로서, 화강암을 깎아 만들었다. 1970년대 후반 장마철에 전라산 부근의 용장천(龍獐川)에서 미륵이 발견되었으며, 서산군청에 신고한 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용...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백제 시대 마애 여래 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은 바위에 새겨진 마애 여래 삼존상으로, ‘백제의 미소’로 불리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처음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을 산신령과 산신령의 두 부인으로 보고 건방지게 앉아 있는 둘째 부인에게 첫째 부인이 돌을 던지려고 하는 형상이라고 해학적으로...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삼길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및 복장 유물. 서산 해월사 목조 관음보살 좌상은 삼길사[옛 해월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 관음보살 좌상으로, 불상 내부에서 원문(願文)을 비롯하여 개금 중수기[1817], 후령통(候鈴筒) 일괄, 『법화연화경(妙法蓮華經)』[1680], 다라니 등의 복장 유물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을 통해 1726년(옹...
-
충청남도 서산시 석남동에 있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의 석불 입상. 석남리 석불입상(石南里石佛立像)은 서산 시내에서 남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석남동 미럭말의 낮은 구릉 상에 위치하고 있다. 둘레에는 석재로 만든 보호책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에 송림과 정자 터가 있다. 현지에서는 미륵불로 불리고 있는데, 마멸이 극심하여 세부적인 조각 수법을 살피기가 어렵다...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산동리 석천암(石泉庵)에 있는 조선 시대 석조 불상군. 석천암의 주 불전인 원통보전 뒤로는 자연의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루고 있는데, 석천암 석조불상군(石泉庵石造佛像群)은 이들 암괴 아래 평탄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석천암의 주지 승려 혜선에 의하면 재임 초기에 약 40여 구의 불상이 전하였다고 하나, 조사해 본 결과 약 18구의 불...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산동리에 있는 석천암 원통보전에 보관된 지장보살상과 석사자상. 원통보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불전이 사찰의 중심 법당일 때 주로 붙이는 이름이며, 일반적으로 관세음보살을 봉안한 건물이 주불전이 아닐 때에는 관음전이라 이름 붙인다. 석천암 원통보전에는 관음보살을 주존으로 하여 좌우 협시 보살로 지장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배치시켜 놓고 있다. 관음보...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 송덕암(頌德庵)에 있는 조선 시대 미륵불. 송덕암은 상왕산의 서남쪽 산기슭에 있는 위치한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이다.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 솔뜸마을 근처로, 해미면에서 덕산 쪽으로 향하는 국도 변에 위치하고 있다. 1973년 승려 성원(成圓)이 약사전과 산신각, 범종각 등을 새로 지었으며, 이외에 요사 2채와 칠층석탑, 오층...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신장리 불당골에 있는 고려 전기 석불 좌상. 서산시 음암면 신장1리 마을 주민의 전언에 의하면, 신장리 불당골 석불좌상(新莊里佛堂골石佛坐像)은 서산시 해미면 황락리에 위치한 일락사(日樂寺)에서 옮겨 놓은 것으로 전한다. 발견되었을 당시 불상은 지금의 위치에서 약 1.5m 정도 앞에 있었다고 한다. 이후에 마을 도로를 개설하기 위해서 현재...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연화리에 있는 고려 후기 석불 입상. 서산시 지곡면 연화리 마을의 남서쪽에 ‘미륵골’이라 불리는 골짜기가 있는데, 연화리 석불입상(蓮花里石佛立像)은 미륵골 입구의 산기슭에서 마을을 등지고 서 있다. 연화리 석불입상에 관한 기록은 『서산군지』[1927]에서도 보인다. 『서산군지』에는 “연화리 연화산 고려조의 미륵(彌勒) 석불이 있다”고 기...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던 비로자나불 좌상. 용현리 비로자나불좌상(龍賢里毘盧舍那佛坐像)은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에서 발견되어 1980년대에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 관리사무소 인근으로 옮겨져 있었다. 그러나 2005년 3월 19~3월 20일 사이에 도난당해 현재는 소재를 파악할 수 없다. 도난당하기 전까지는 일부 신도...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고려 후기~조선 전기 석불 입상. 용현리 석불입상(龍賢里石佛立像)은 백제의 미소라고 불리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과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로 통하는 길목의 용현계곡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강댕이 미륵불’이라고 불리고 있는데, 원래 강댕이마을에 세워져 있었기 때문에 개명을 한 것으로...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 인근에서 출토된 통일 신라 시대 금동 여래 입상. 용현리 출토 금동여래입상(龍賢里出土金銅如來立像)은 1968년 4월 보원사지 출토 금동여래입상(普願寺址出土金銅如來立像)이 발견된 지점에서 동북쪽으로 약 10m 떨어진 밭에서 출토되었다. 장유성 소유의 밭을 경작하던 정장옥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이후 횡류(...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황락리 일락사(日樂寺)에 있는 고려 시대 삼신불상. 일반적으로 대웅전은 석가여래가 주존불이지만 일락사의 경우는 비로자나불이 모셔지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9세기 이래로 비로자나불이 유행하게 된 신앙 형태의 변이(變異) 양상이 지속된 결과로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1993년 원래의 대웅전을 이전하여 명부전으로 사용하고, 그 자리에 대적광전...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황락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석불 입상. 황락리 석불입상(皇洛里石佛立像)은 서산시 해미면 소재지에서 일락사(日樂寺)로 가는 길에 있는 황락리 일락골 마을 회관 뒤편으로부터 약 5m 지점에 서 있다. 악귀 등을 막으려고 서산시 해미면 사방에 세운 비보 장승 가운데 하나로, 해미면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미륵(彌勒)이다. 하반신이 시멘트로 만든...
불화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 대웅보전에 있는 괘불도. 괘불도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이 거행될 때 사찰 주불전 앞인 상단(上壇)에 걸어놓는 대형 불화를 가리킨다. 괘불도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인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삼신불(三身佛), 삼세불(三世佛), 석가불, 노사나불, 미륵불 등을 주존불(主尊佛)로 한 괘불도가 조성되었으며, 이중...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 대웅보전에 있던 관경변상도. 관경변상도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서 설명하는 인도 마가다 왕국에서 일어난 왕실의 비극적인 사건을 모티브로 한 불화이다. 이 내용은 사건의 전말을 표현한 서분변상도(序分變相圖)와 아미타 극락세계로 왕생할 수 있는 16관법(觀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관경십육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로 나누어진다. 「개...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 대웅보전에 있는 칠성도. 별자리 신앙은 고대부터 존재하였으며 불교는 도교와 융합하여 독특한 칠성 신앙을 형성하였다. 우리나라에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칠성도는 보스턴 미술관에 소장된 치성광여래도[14세기]로 소가 끄는 수레를 탄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가 식재보살(息災菩薩)과 소재보살(消災菩薩), 십일요(十一曜) 등을 이끌고 강림하는 모...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 대웅보전에 있는 신중도. 신중도는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를 수호하는 호법신을 그린 불화이다. 조선 후기에 크게 유행하였으며 각 전각마다 걸리기 때문에 한 사찰에 여러 점의 불화가 전한다. 고려 후기에는 제석천을 단독으로 그린 제석천도가 제작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제석천과 위태천을 단독으로 그린 신중도, 제석천과 범천 및 위...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문정리 두우사 미륵전 불단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불회도. 아미타불회도는 아미타여래가 서방 극락세계에서 설법하는 순간을 재현한 불화이다. 존상 구성은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권속인 팔대보살뿐만 아니라 나한, 사천왕, 신중이나 천녀 등이 외호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1854년에 수화승 성천(性天)과 금훈(錦薰), 진우(進祐), 돈석(頓碩)이 참여하여...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에 있는 삼세불회도. 삼세불회도는 사파세계(裟婆世界]) 석가모니불, 동방 유리광세계(琉璃光世界) 약사불, 서방 극락세계(極樂世界) 아미타불을 주불로 한 설법회를 표현한 불화이다. 본래 삼세불(三世佛)은 과거불 연등불(燃燈佛), 현재불 석가불(釋迦佛), 미래불 미륵불(彌勒佛) 등 시간의 개념을 상징하는 부처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에 있던 신중도. 불법승을 수호하는 호법신을 그린 신중도는 조선 후기에 크게 유행하였다. 언제부터 신중도가 제작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제석천을 단독으로 그린 고려 후기의 제석천도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고려 후기 제석천도처럼 제석천이 단독으로 조성되면서 그와 짝을 이루는 천룡도가 제작되었으며, 18세기...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에 있는 지장시왕탱화. 지장시왕탱화는 지장삼존과 명부의 10명의 대왕인 시왕을 한 화면에 함께 그린 불화이다. 지장시왕탱화는 주로 대웅전, 극락전 등 주 불전이나 암자의 법당에 좌측 혹은 우측 벽에 신중도와 마주보게 건다. 주로 사찰의 대웅전과 같은 주 불전 혹은 암자의 법당 한쪽 벽에 걸어 천도 의식을 거행한다. 「문수사 지장시왕탱화...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취평리 부석사에 있는 아미타후불도. 아미타후불도는 아미타여래가 서방 극락세계에서 설법하는 순간을 재현한 불화이다. 조선 시대에 아미타후불도는 사찰의 주 불전과 부속 전각인 극락전에 봉안되었으며 후불도의 규모에 맞게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팔대보살, 나한, 사천왕, 신중이나 천녀 등이 외호하는 군도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19세기에는 암자를 중심으로 감실...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서산 개심사 오방 오제위도 및 사직 사자도」는 중국의 고대 제왕인 오제(五帝)와 명부(冥府)의 사직 사자(四直使者)를 그린 불교 의식용 불화이다. 다섯 방위를 다스리는 오제에 대한 신앙은 고대 중국 유가(儒家)의 경전인 『예기(禮記)』에서부터 나타나는데, 오제에 대한 인식과 명칭은 문헌에 따라 차...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개심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 보살도」는 의식용 불화로, 불교 의식을 진행할 때 야외 의식 도량에 헌괘(獻掛)하여 도량 주위를 결계하고 수호하는 기능을 맡는다. 제석천도와 범천도가 각 1점, 팔금강도 8점, 사보살도 4점으로 총 14점이 현존한다. 의식을 행할 때 조성한 일련의 불화는...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천장사에 있는 아미타후불도. 아미타후불도는 아미타여래가 서방 극락세계에서 설법하는 순간을 재현한 불화이다. 고려 후기에는 아미타불만 단독으로 조성한 독존도, 아미타불과 협시인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을 함께 그린 삼존도, 그리고 아미타불과 팔대 보살인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금강장보살, 제장애보살, 미륵보살, 지장보살이 결...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천장사에 있는 지장시왕도. 지장시왕도는 지장삼존과 명부의 10명의 대왕인 시왕을 한 화면에 그린 불화이다. 지장시왕도는 주로 대웅전, 극락전 등 주 불전이나 암자의 법당에 좌측 혹은 우측 벽에 신중도와 마주보게 건다. 주로 사찰의 대웅전과 같은 주 불전 혹은 암자의 법당 한쪽 벽에 걸어 천도 의식을 거행한다.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는...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천장사에 있는 신중도. 신중도는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를 수호하는 호법신을 그린 불화이다. 불법승을 수호하는 호법신을 그린 신중도는 조선 후기에 크게 유행하였다. 언제부터 신중도가 제작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제석천을 단독으로 그린 고려 후기의 제석천도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고려 후기 제석천도처럼 제석천이 단독...
출토 유물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기지리 유적 분구묘에서 출토된 철정. 철정은 덩이쇠라고도 부른다. 철정의 기능에 대해서는 철기 중간 소재 설, 화폐 설, 위신재 설, 철기 중간 소재와 화폐로 동시에 사용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철정은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대체로 판상철부 → 판상철부형 철정 → 철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철정은 크게 대형과 소형으로 구분...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기지리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거울. 기지리 출토 청동경은 기지리 유적 21호 분구묘에서 출토되었으며, 사유훼룡문(四乳虺龍文) 방제경(倣製鏡)으로 판단된다. 21호 분구묘는 3차에 걸쳐 매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1차에 조성된 매장 주체부 내 피장자의 가슴에 해당하는 중앙 부분에서 청동 거울이 출토되었으며, 더불어 청동제 환과 방울이...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보원사지 오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 장엄구. 보원사지 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치는 1968년에 보원사지 오층석탑을 해체·보수하던 중 4층 옥개석과 5층 탑신석, 기단 적석층(積石層)에서 발견되었다. 4층 옥개석의 사각형 사리공에는 금동 사각형 사리합과 금동 직사각형 사리통, 녹색 유리 사리병, 5층 탑신석에는 유리 및 옥으로 만...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의 널무덤 목관 내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4~5세기에 백제 지방의 중요 거점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는 최고의 위세품이다. 서산 부장리를 비롯하여 공주 수촌리, 천안 용원리, 익산 입점리, 나주 신촌리, 고흥 길두리 등 백제 금동관이 출토된 곳의 입지적 특성은 백제...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 신발 편.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식리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 Ⅱ지점 6호분 6호 널무덤과 8호분 1호 널무덤에서 출토되었다. 백제의 금동식리는 금동관과 함께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위세품이자 장송용품(葬送用品)이다. 중앙에서 지방의 수장에게 사여하는 것으로서 피장자의 위상을...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제 이식.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는 금제와 금동제 이식이 모두 발견되었으며, 형태 면에서는 소환식 이식과 수식부 이식이 출토되었다. 백제의 이식(耳飾)은 재질이 금제(金製)나 금동제가 대부분이고, 동봉(銅棒)을 구부려 만든 후 금도금한 금동제도 있으며 은제나 청동 제품도 확인된다....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자기.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녹유자기 사이부호편은 서산 부장리 고분군 Ⅱ지점 6호 분구묘의 주구에서 출토되었다. 삼국 중 백제는 다른 나라에 비하여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를 반영하듯 백제 지역에서는 많은 중국 자기가 발견되었다. 중국 자기는 특히 위세품적 요소가 매우...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칼. 삼엽환두대도는 장식 대도의 하나로, 장식 대도는 무덤에서 출토되는 유물 가운데 가장 위력적인 성격을 지닌 무구류(武具類)이다. 하지만 화려한 장식성으로 인해 무기로서의 기능보다는 피장자의 사회적 위치와 권위를 나타내는 위세품으로 활용되었거나, 혹은 복식의 일부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백제의 장...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철제초두.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철제초두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 Ⅱ지점 5호 분구묘 1호 널무덤의 목곽 내에서 출토되었다. 초두는 솥의 일종으로 다리가 3개 달려 있고 몸통 중간에 긴 손잡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술이나 약, 음식물을 데우거나 끓이는 용도로 알려져 있다. 재질에 따라서 청동초...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언암리 유적에서 출토된 아궁이틀. 언암리 주거지 출토 아궁이틀은 언암리 유적 나 지구 14호 주거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주거지 내부의 난방 또는 취사와 관련된 구조물이다. 언암리 주거지 출토 아궁이틀은 적갈색 경질로 정선된 점토를 사용하였다. 아궁이틀은 길이 70㎝, 너비 32㎝, 두께 2.9㎝이다. 형태는 ‘ㄱ’형의...
-
충청남도 서산 출신의 공신인 정인경(鄭仁卿)의 묘지명. 정인경 묘지명은 1306년(충렬왕 32) 2월에 제작되었다. 정인경[1237~1305]은 서산에서 중흥조(中興祖)와 같이 추앙되며 존경받는 인물이다. 정인경은 몽고 침략기인 고종 말년에 내침한 몽고군을 아산 지역에서 공격하여 전공을 세웠다. 그 이후 무반으로 입신하여 즉위 이전의 충렬왕을 호종하여 두 차례...
토기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출토된 흙을 빚어 불에 구워 만든 용기. 토기는 흙을 이용하여 형태를 만들고 한뎃가마[노천요]에서 대략 500~1,000℃ 내외의 불에 구워서 만든 용기이다. 유약을 바르고 1,300℃ 이상에서 구운 용기를 자기라고 부르는데, 유약을 바른 자기를 제외하면 대부분 토기라고 부른다. 토기의 사용은 과거 수렵·채집 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 생...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기지리 유적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토기. 2005년 7월 1~2006년 3월 30일 기지리 유적(機池里遺蹟) 분구묘 가운데 모두 7기의 유구에서 9점의 흑색 마연 토기(黑色磨硏土器)와 흑색 마연 토기 방제품이 출토되었다. 이 가운데 구체적인 형태를 알 수 있는 것은 Ⅱ-27호 분구묘의 주매장주체부 출토품 1점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저부(底部)만 남...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유적(余美里遺蹟)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토기. 1999년 여미리 유적 13호 횡구식(橫口式) 석곽분에서 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의 조사로 출토되었다. 병형 토기(甁形土器)는 백제 고분에서 일반적으로 출토되는 토기 기종으로 형태상 큰 차이점은 없으나, 어깨 부분에 기마 인물상이 음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에 소재한 국립...
농기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향교골에서 두레의 농기로 제작한 기. 서산시 동문동 향교골은 1574년(선조 7) 군수 최여림에 의해 서산향교가 이건해 온 마을이다. 이로 인해 교하촌(校下村)의 성격을 띠고 형성된 이 마을은 교동 또는 향교골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다. 동문동 향교골 용대기는 1899년(광무 3)에 두레의 농기로 제작한 기로, 용이 그려져 있어 속칭 ‘용...
-
충청남도 서산시 덕지천동에서 활동한 두레패가 사용하던 농기. 용대기는 기 바탕에 용과 운기가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원래 군대에서 각 영(營)을 지휘하는 데 쓰던 것이다. 이것이 농촌 사회에서는 두레패의 상징이자 논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농기로 용도가 바뀌었다. 농기로서 용대기에 그려진 용은 물이 가장 중요한 논농사에서 물을 관장하는 용신(龍神), 즉 수신(水神)을...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초록1리에서 두레의 상징인 용대기를 다시 그린 깃발. 서산시 고북면 초록리에는 예부터 내려오는 용대기가 있었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 용대기는 주변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어서 예전에 두레가 나면 다른 마을에서 모두 초록리의 깃발을 보고 예를 갖추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너무 낡고 헤진 까닭에 50여 년 전 옛 용대기를 이모...
기타
-
선사 시대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돌을 갈아 만든 도구나 무기. 간석기는 돌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갈아 만든 일상생활용 도구나 무기를 일컫는다. 이를 ‘마제석기’라고도 한다. 한반도의 청동기 시대는 간석기의 시대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전체 역사에서 간석기가 가장 발달한 시기였다. 석기를 가는 ‘마제기법(磨製技法)’은 구석기 시대에도 일부 확인되지만,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 대산중학교 향토관에 소장된 유물. 서산시 대산 지역은 1950년대 후반에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역 출토 유물이 외부로 반출되자 대산중학교 김기풍 교장이 지역 문화재를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지속적인 수집을 통해 대산 지역에서 출토된 선사 시대 이래의 각종 유물에서부터 민속자료에 이르기까지 약 1,000여 점의 유물을...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 음암중학교에 소장된 유물. 음암중학교 소장 유물은 선사 시대 유물로서 반달돌칼, 돌도끼, 홈자귀, 석촉 등이 있다. 이들 유물들은 음암 지역의 선사 시대 유적지에서 수습된 것이다. 음암중학교 소장 유물은 모두 15점으로, 삼각형 반달돌칼 1점, 파손된 반달돌칼 1점, 돌도끼 3점, 홈자귀 1점, 돌끌 1점, 석제품 1점...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에 있는 개심사에서 출토된 향로. 개심사명 청동은입사향완은 개심사 금동여래좌상 및 개심사 오층석탑과 함께 1948년 6월과 1960년 2월 등 두 차례 조사되었다. 현재 충청남도 수덕사 근역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2003년 10월 30일에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 제170호로 지정되었다. 개심사명 청동은입사향완은 고배형...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웅소성리에 있는 문인석. 방죽골 문인석은 서산시 해미면 웅소성리 마을회관에서 동쪽으로 약 350m 거리에 있는 방죽골 야산에 위치하고 있다. 서산시 해미면 웅소성리 41-1번지에 있는 김태용의 집 뒤쪽의 계곡을 따라 약 40m 정도 올라가면 조그마한 웅덩이가 확인되고, 웅덩이에서 약 60m 더 올라가면 방죽골 문인석이 쓰러져 있다. 김태...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 고양동에서 전래되는 「서산박첨지놀이」에 등장하는 인형.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 고양동에서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는 「서산박첨지놀이」는 2000년 1월 11일 충청남도 무형 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주인공 박첨지를 통해 양반 사회의 모순을 해학적으로 풍자하는 우리나라 유일의 마을 단위 민속 인형극이다. 이 놀이가 서산시 음암면 고...
-
충청남도 서산 출신의 조선 전기 천문학자 유방택(柳方澤)[류방택이 제작한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天象列次分野之圖刻石)은 1395년에 석재에 새겨진 천문도로, 1247년에 제작된 중국의 순우천문도(淳祐天文圖)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되었다. 우리가 무심코 보았던 1만 원짜리 지폐에 나와 있을 정도로 귀중하지만 그간 그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다가 근래에...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에 있는 진충사(振忠祠)에 보관된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유품. 정충신[1576~1636]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정충신 장군 유품은 총 5종으로 영정(影幀) 1점, 갑옷 1착, 서군사명기(西軍司命旗...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에 있는 진충사에 보관된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갑옷. 정충신 장군 유품[갑옷]은 1978년에 국가민속문화재 제36-2호로 지정되었다. 정충신[1576~1636]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갑옷의 바깥천...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에 있는 진충사에 보관된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사명기(司命旗). 정충신 장군 유품[서군사명기]은 1978년에 국가민속문화재 제36호-3로 지정되었다. 정충신[1576~1636]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에 있는 진충사에 보관된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영정(影幀). 정충신 장군 유품[영정]은 1978년에 국가민속문화재 제36-1호로 지정되었다. 정충신[1576~1636]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에 있는 진충사에 보관된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향로(香爐). 정충신 장군 유품[향로]은 1978년에 국가민속문화재 제36-4호로 지정되었다. 정충신[1576~1636]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대요리에 있는 진충사에 보관된 정충신(鄭忠信) 장군의 향합(香盒). 정충신 장군 유품[향합]은 1978년에 국가민속문화재 제36-5호로 지정되었다. 정충신[1576~1636]은 조선 인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향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