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황음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486
한자 救荒飮食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유병덕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양식이 부족할 때 곡식 대용으로 먹었던 음식.

[개설]

구황 음식(救荒飮食)은 과거 기근 때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 곡식 대용으로 먹던 초근목피류(草根木皮類)의 식품을 말하는데,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다. 구황 음식은 곡식과 혼용해 같이 먹기도 하고 그것만으로도 식량을 대신하기도 하였다. 주기적으로 기근에 시달리던 전통 시대에는 다양한 구황 음식이 있었다. 조선 시대에 편찬된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구황촬요(救荒撮要)』,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등의 책에도 다양한 구황 음식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는 등 구황 음식은 백성들의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구황 식물의 종류는 초본과 목본을 합하여 851종에 이르며, 이 중에서 평소 식용하고 있는 것은 300여 종이다.

[종류]

서산 지역에서 주로 먹던 구황 음식은 수수, 스슥[조], 풋보리 등 잡곡을 섞어 지은 수수밥[수수죽], 스슥밥[조밥], 보리죽 등과 도토리 가루, 콩깻묵, 술지게미, 시래기, 쑥, 무수[무] 등을 넣어 지은 도토리밥, 대두밥, 술지검지밥, 시래기밥, 쑥밥[쑥죽], 무수밥[무밥] 등이 있다. 그리고 보릿겨로 만든 겨개떡, 밀기울로 만든 밀찌울떡, 느티나무 새싹과 멥쌀가루를 섞어 찐 느티떡과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수제비[뜨제비] 등도 애용되었다. 그 외 느릅나무 껍질이나 무릇, 칡뿌리 등을 고아 먹기도 하였다.

특히 바다와 접한 서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갯벌에서 잡은 세발낙지와 어린 박속을 넣어 끓인 박속낙지탕 또는 밀국낙지탕이 있다. 지금은 박속낙지탕을 서산시의 대표적인 토속 음식이자 별미로 즐겨 먹지만, 예로부터 보릿고개의 구황 음식으로도 많이 먹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