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무주문화대전 > 무주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근현대 인물 > 문인·학자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강봉선(姜奉先)이다. 아들은 강호완(姜浩完), 강호열(姜浩烈)이다. 강판종(姜判鍾)[1912~1969]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에서 출생하였다. 1940년 대동 상업 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원광 대학교 법정학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55년 중앙 교원 자격 검정 위원회 시행 고등학교 준교사...
-
근대 무주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호는 유당(裕堂). 충목공(忠穆公) 김여석(金礪石)의 후손이다. 아들 김영교(金永敎)는 법학을 공부하여 학부(學部)에서 교관을 지내다 세상이 날로 어지러워지자 물러나 거문고를 타며 글 읽는 것을 낙으로 삼았으며, 고을 사람들을 교화하는 데 진력하였다. 김직현(金直鉉)은 심성(心性)과 이기(理氣)에 대한 책을 주로...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김녕(金寧). 아들은 김일권(金日權)이다. 김칠궁(金七宮)[1908~1968]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에서 출생하였다. 1929년 전라북도 공립 사범 학교 특과 제2부를 졸업하고, 같은 해 장수 공립 보통학교 훈도로 부임하였다. 1931년 무주 공립 보통학교, 1936년 천천 공립 보통학교(天川公立普通學校), 19...
-
일제 강점기 무주 출신의 문학 비평가이자 교육자.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눌인(訥人). 아버지는 김종원(金鍾元)이고, 어머니는 고씨(高氏)이다. 김환태(金煥泰)[1909~1944]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서 출생하였다. 무주에서 보통학교 4년을 마쳤다. 1922년 13세에 전주 고등 보통학교에 입학하였는데 일본인 교사 추방을 위해 동맹 휴학을 벌이다 무기정학...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방송 작가. 박성조(朴成祚)[1939~1997]는 전라북도 무주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가 경동 고등학교와 고려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63년 『조선 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부에 인선(人選)하였으며, 1966년 1월 『동아 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부에 「여직공 달래」로 가작 입선하였다. 1968년 문화 공보부에서 실시...
-
근대 무주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자신(自信), 호는 계은당(溪隱堂). 문희공(文僖公) 신개(申皆)의 8세손인 신춘석(申春錫)[1572~1633]의 후손이다. 신백희(申百熙)[1857~1939]는 어려서부터 성품이 순양하고 곧았으며 효심이 깊었다. 무주 지역에서 거주하였는데, 학문을 좋아하여 고금의 문전(文典)을 섭렵하였다. 세상의 명리(名利)...
-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언론인 겸 시인. 신찬균(申瓚均)[1937~2006]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에서 출생하였다. 1956년 전주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전주 고등학교 시절 학보사 기자로 활동하였으며, 당시 스승이었던 시인 신석정(辛夕汀)의 가르침을 통해 작가 정신과 언론인의 자세를 배웠다. 1961년 동국 대학교 국문과를 나와 경향 신문사 기자로...
-
개항기 무주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주(晋州). 호는 백남(柏南). 조선 전기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의 후손이며, 취은공(醉隱公) 하형도(河亨道)[1606~1678]의 8세손이다. 생몰년이 미상이나 8대조 하형도가 17세기 사람이니 개항기 정도에 살았던 인물로 추정된다. 이 집안이 무주에 들어온 것은 하형도의 아버지 하위국 때이다. 하현(河鉉)은 과거에 뜻을 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