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년 군현 지도』 「금산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245
한자 1872年郡縣地圖錦山郡
영어공식명칭 Gunhyeonjido In 1872 Geumsan-gu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1872년 군현 지도』「금산군」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정의]

1872년에 제작된 군현 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지금의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지도.

[개설]

『1872년 군현 지도』 「금산군」 에서 당시 금산군에 소속된 부남면은 1895년에 시행된 행정 구역 개편 때 무주부의 속현으로 귀속되었다. 『1872년 군현 지도』「금산군」흥선 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명령으로 그린 지도로, 당시로서 가장 자세한 지리 정보를 수집하여 모은 지도였다.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전국 8도를 부(府), 목(牧), 군(郡), 현(縣)별로 그린 채색 지도이다. 『1872년 군현 지도』「금산군」은 조선 후기 금산군에 속한 금산 읍치(邑治)를 중심으로 군북면, 군이면, 군일면, 남이면, 남일면, 동일면, 부남면, 부동면, 부북면, 부서면, 서이면, 서일면, 읍내면 등을 비롯하여 각 면의 마을[里]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금산군의 읍치는 동헌을 포함한 내아와 관아가 북쪽에 위치하고 그 남쪽에 객사(客舍) 등의 행정 경관과 함께 제사 경관인 사직단(社稷壇), 향교(鄕校), 여단(厲壇) 등이 배치되어 있다.

무주와 관련된 지역은 부남면으로 지도의 남동쪽 끝 부분인 감동강(甘同江)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다. 부남면에는 고창리, 대곡리, 대소리, 도소리, 율소리 등이 위치하고 있다. 지도의 부기(附記)에 건치 연혁 조에서는 "백제의 진내군을 신라 때 진례군으로 고쳤다. 고려 때 현령으로 강등하였고, 충렬왕 31년에 이 고을 출신 김신(金신)이 원에서 벼슬하여 요양행성 참정(遼陽行省參政)이 되어 공을 세웠기에 금주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조선 태종 13년에 군으로 고쳤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관방 조에 산성 진보는 없으며, 험애(險隘)는 4처가 있다고 되어 있다.

[특징]

조선 시대에는 풍수적 명당 논리에 의해 읍치의 터를 잡았기에 금산군 읍치에서도 가장 중요한 권위의 공간인 동헌과 객사가 그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모든 읍치에 공통적으로 있어야 했던 객사, 향교, 사직단, 여단 등의 제사처 또한 금산 읍치에도 존재한다. 객사는 지방관인 고을의 수령이 최고 통치자로서의 권위를 임금으로부터 부여받았음을 나타냄과 동시에 수령이 임금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공간이었기에 그 규모가 가장 컸다. 사직단과 여단은 태종[1401~1418 재위] 때 명나라의 『홍무 예제(洪武禮制)』를 본따서 전국의 모든 고을에 일률적으로 설치하여 지방관의 주관 아래 제사를 지내도록 한 시설이었다. 일부 지역의 예외를 제외하면 사직단은 읍치의 서쪽에, 여단은 읍치의 북쪽에 만들도록 정하였다. 다만 고을의 사정에 따라 이들의 구체적인 위치는 조금씩 달랐다. 이와 함께 동헌을 중심으로 『주례 고공기(周禮考工記)』의 공간 배치 원리, 즉 '좌종묘(左宗廟) 우사직(右社稷)'에 따라 사직단과 향교가 위치하였다.

[의의와 평가]

1872년에 전국의 군현을 대상으로 지리 정보를 집대성한 고지도 가운데 하나가 『1872년 군현 지도』「금산군」이다. 풍수지리적 관점과 『주례 고공기』의 공간 배치 원리가 동시에 적용되었기에 당시의 지리적 관점을 살펴볼 수 있는 지도라고 할 수 있다. 나중에 무주부에 소속되는 무주군 부남면의 마을들을 살펴볼 수 있는 지도라는 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