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제천 지역 출신이거나 제천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효는 동양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겼던 사상이다. 공자(孔子)는 올바른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인(仁)을 주장하였는데, 인이란 “사람을 사랑하는 것[愛人]”이며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爲仁]”이었다. 그리고 그 인을 실천하는 근본으로서 “효성과...
-
충청북도 제천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을 받은 여자. 열녀(烈女)에 대한 사전적 개념을 보면, 열녀는 혼인 전에 약혼자가 죽었을 경우 그 뒤를 따라 죽는 여자 및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써 강포자(强暴者)[몹시 우악스럽고 사나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에 항거하는 미혼녀라고 하였고, 열부(烈婦)는 기혼녀로서 남편의 뒤를 따라 죽는 부인 및 목숨을 끊음으로써...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강회백(姜淮伯)의 후손으로 아들 강정환(姜鼎煥) 역시 효행으로 알려졌다. 다른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가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더 이상 찾을 수 없으나, 『여지도서(輿地圖書)』에 함께 기록된 강재망(姜宰望)은 형제로 짐작된다. 강재무(姜宰武)와 관련한 기록은 『여지도서』에 “부친이 병으로 위급하니 다시 그 손가락을 잘...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효자로 알려진 강재무(姜宰武)이다. 강정환(姜鼎煥)과 관련한 기록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재무(宰武)의 아들이다. 모친이 병으로 기절하니 다시 손가락을 잘라 회생시켰다. 숙묘조 기해[己亥]에 복호(復戶)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복호(復戶)는 특정한 대상자에게 호(戶)의 조세(租稅)나 부역(賦役)을 면제...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자. 강준회(姜晙會)는 본관이 진주(晉州)이며, 효행이 남달랐다. 아버지가 병으로 혼절하니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하여 회생시켰고, 물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자 하늘을 우러러 눈물을 흘리니 문득 큰 물고기가 뛰어 올라와 이로써 병을 다스렸다고 한다. 또한 아버지가 위독할 때 한 노인이 꿈에 나타나 야생 학이 약이 된다고 하였는데, 홀연히 창문으...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회(聖會). 권형규(權亨奎)는 8세 때 어머니가 회충으로 고생하는 것을 보고 안타까워하다, 주변에서 닭 한 마리를 병자 방에서 굽고 꿩 한 마리를 다른 방에서 구운 다음, 닭과 꿩을 바꾸어 병자에게 먹이면 병이 낫는다는 말을 듣고 눈 덮인 겨울 산에 올라 꿩을 구하러 다녔다. 숲 속을 헤매고 있는데 풀숲 속에서...
-
조선 시대 제천의 열녀. 파평 윤씨(坡平尹氏)는 진위(振威) 김기호(金基鎬)의 처이다. 시집가서 효성으로 시부모를 모시고, 공경으로 남편을 대하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자신도 따라 죽으려고 하였으나, 늙은 시어머니를 생각하여 차마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였다. 이틀 후에 시어머니마저 돌아가시자 슬픔을 억누른 채 예로써 장례를 지내고 삼우제(三虞祭)까지 지낸 후에 스스로...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청풍(淸風). 남편은 김병우(金秉祐)이고, 아버지는 김익한(金益漢)이다.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시부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섬기고 남편을 항상 공손하게 내조하였다. 시어머니가 중풍으로 쓰러졌을 때, 온몸을 정성껏 보살폈으나 효험이 없자 뒤뜰에 제단을 마련하여 3년간 천지신명께 하루도 거르지 않고 기도하였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정성껏...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아버지는 효자로 동몽교관의 관직과 정려를 받은 김종려(金宗礪)이다. 김이중(金履重)은 아버지를 본받아 극진히 부모를 모셨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대변의 맛을 보아 병세를 살폈고, 병이 깊어져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흘려 넣음으로써 회생시켰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피눈물을 흘리며 3년간 묘소를 지키는 등 효...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아들로 효행으로 정려를 받은 김이중(金履重)이 있다. 김종려(金宗礪)는 본관이 강릉(江陵)이며, 생몰년은 알 수 없다. 어려서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시종일관 지극한 슬픔과 예를 다하는 행동이 어른보다 나아 주변의 칭송을 들었다. 어머니를 봉양할 때도 지극한 효도를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자 하늘에 기도하여 쾌유를 빌...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이자 효녀. 본관은 청풍(淸風). 남편은 김준구(金俊九)이고, 아버지는 김진학(金鎭學)이다. 아들로 김태희(金泰希)가 있다.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15세에 시집가서 일찍 남편을 여의고 남매를 두었는데, 낮이면 나무하며 김을 매고, 밤이면 길쌈과 바느질로 가난하던 집안을 부유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친정 부모가 나이 들자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으...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열녀. 충주 박씨(忠州朴氏)는 김진규(金振奎)의 처이며, 효행이 조정까지 널리 알려져 고종에게서 동몽교관의 관직과 정려를 받은 김이중(金履重)의 6세손 며느리이다. 남편이 병석에 누워 여러 해 일어나지 못하는 동안 조상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지내며 크고 작은 집안일을 홀로 처리하였다. 남편이 세상이 떠나자 탄식하며 스스로 독약을 먹고 남편의 뒤...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주(光州). 호는 삼족당(三族堂). 노정하(盧楨夏)는 부모가 병이 들자 지성으로 보살폈으며, 병세가 심해지자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살피며 극진한 정성을 다하였다. 결국 상을 당하게 되었을 때 40리 길이나 떨어진 묘에 사흘마다 참배를 하였다. 형제간에 우애가 깊었고, 친족의 관혼상제에 후하게 도와주었으며, 친구들 사이에도 신의가 두...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부. 말질덕(末叱德)은 영조 대에 살았던 사비(私婢)이다. 하루는 시어머니를 모시고 이웃집에 갔다가 날이 저물어 돌아오는 길에 호랑이가 나타나 시어머니의 한 팔을 물고 놓지 않았다. 이에 말질덕은 시어머니를 살릴 생각으로 자신의 팔을 대신 물게 하곤 시어머니를 업고 집에 돌아온 뒤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제천군지』에는 말질덕이 호랑이를 횃불로...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원실(元實). 중종 대의 문신인 민세량(閔世良)의 14세손이다. 민정현(閔鼎顯)은 8세 때 아버지가 병이 들어 위태롭게 되자 밤낮을 가리지 않고 기도하며 병구완을 하여 사람들이 놀라워하였다. 아버지의 병세가 더욱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피와 함께 약물을 드려 결국 회생하게 하였다. 기력을 회복한 아버지가 자라를...
-
조선 후기 제천의 효자. 박시산(朴時山)은 영조 대 사람으로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 효열로 널리 알려진 박전 등과 함께 관련 기록이 간단하게 수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박시산은 양인(良人)이다. 호랑이가 그 집에 들어와 아버지를 물어 상처 입히니 시산이 몽둥이로 호랑이를 때리고 도끼로 머리를 부수니 곧 호랑이가 죽었다. 부친은 치료하여 죽지 않았다. 영조 7년[1...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박양한(朴良漢)과 박양우(朴良遇)의 아버지는 숙종 대의 문인 박수검(朴守儉)[1629~1698]이다. 박수검은 조석윤(趙錫胤)과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의 폐출을 보고 벼슬을 버린 뒤 제천의 임호(林湖)로 내려와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살았다. 박양한은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의병장으로 안무사에 제수되어...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청풍(淸風). 남편은 밀양 박씨(密陽朴氏) 박의호(朴義浩)이다.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나이 27세에 남편을 여의었다. 팔순 시어머니와 여섯 살 어린 아들이 있었는데, 절개를 지키고 효로써 시어머니를 35년간 하루같이 봉양하였다. 또한 집안을 법도 있게 다스리고, 자식을 가르치는 데 의리로 하여 마을 사람들이 청풍 김씨의 지조 있는...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정숙(靜淑).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을 보살펴 달라는 문종의 고명(顧命)을 받았던 충정공(忠貞公) 박심문(朴審問)[?~1456]이 6대조이다. 박전(朴瀍)[1599~?]의 효행에 대해서는 『여지도서(輿地圖書)』,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의 병환을 낫게 하기 위해 손가락을 끊어 피...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박정무(朴貞武)는 아버지가 편찮을 때 배와 꿩고기가 약이 된다는 말을 듣고 온갖 어려움 끝에 구해다가 봉양하였고,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모셨다. 박정무의 효행을 기려 1860년(철종 11)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에 효자문이 세워졌다고 한다....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초명은 반우석(潘瑀錫), 자는 여규(汝圭), 호는 우극(雨屐). 반규석(潘圭錫)은 제천에 살던 한의사로 의술이 뛰어나 편작(扁鵲)이 다시 태어났다는 말을 들었다. 효성이 지극하여 90세 어머니를 모시면서 항상 음식과 약을 친히 돌보았고, 하룻밤에 대구까지 드나들면서 약을 구하여 병을 치료하기도 하였다. 주변에서 약을 묻는 이들이 끊이지 않았...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석두영(石斗永)은 자는 성실(聖實)이며, 도사(都事)를 지냈다. 대대로 청풍에 살았는데, 33세에 어버이의 상을 당하여 30리 밖에 장사를 지내고 매월 초하루마다 성묘하였는데 여러 차례 기이한 행적이 일어났다. 하루는 비바람이 세차게 몰아치는 가운데 성묘를 가려 하였으나 강물이 불어 건널 수가 없었다. 이에 하늘을 우러러 크게 탄식하자 홀연...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자원(子元). 오인용(吳仁庸)은 칠대 독자로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천성이 성실하고 공손하여 어머니 송씨를 지극한 효성으로 모셨는데, 어머니가 중풍으로 병석에 누워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데도 정성껏 시중을 들었다. 때때로 어머니를 업고서 바깥나들이를 하면서 구경을 시켜 기운을 북...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유시형(柳蓍馨)[1842~1942]은 본관이 진주(晉州)로, 모친의 병들었을 때 맏형인 유지형(柳芝馨)과 함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먹였으나 끝내 돌아가시자 3년간 무덤을 지켰다. 또한 부친이 병으로 누워 있을 때 한겨울에 갑자기 자라 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자, 자라를 구하려고 얼어붙은 강 위를 한없이 헤매다가 뜻밖에 나타난 자라를 잡아...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성주(星州). 남편은 사후에 비서승(秘書丞)으로 추증된 유영종(劉英鍾)이다. 성주 배씨(星州裵氏)는 일찍이 청상과부가 된 뒤 남편의 뒤를 따르고자 하였으나 가까운 친척이 없어 뒷일을 부탁할 처지가 되지 못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예를 다해 남편을 장사 지내고 조상의 제사와 묘소를 받들었는데, 시조부의 묘소 구역에 권세 있는 사람이...
-
조선 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밀직사사(密直司事) 청천군(菁川君) 유번(柳藩)이고, 아버지는 유효손이다. 부친을 지극 정성으로 모셨는데, 병환이 들어 위독하자 성심으로 치료하여 병을 완쾌시키고 편안하게 봉양하였다고 한다. 복상(服喪)을 입어 지극하게 상례(喪禮)를 다하고, 3년간 시묘(侍墓)하였다. 유자하의 효행 일화와 정려 사실은 『신증동국여지승람...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녀. 윤개(允介)는 천남역에 속하여 있던 여종으로, 유(劉)씨 성을 가졌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생몰년 역시 미상이다. 청풍으로 시집가서 살고 있었는데, 아버지의 부고를 듣고 다음 날 달려와 보니 이미 염이 끝난 후였다. 하지만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입에 흘려 넣으면서 사지를 주무르니 하룻밤이 지나 깨어나 1년을 더 살았다고 한다...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경창군(慶昌君)의 8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우(李堣)이다. 충민공 이도철(李道徹)이 형이다. 이도영(李道榮)은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대변을 맛보며 병세를 살펴 약을 드렸으며, 병세가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아버지의 입에 흘려 넣어 회생시켰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피눈물을 흘리며...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와 그의 처. 이시진(李時振)의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군수(郡守) 이대수(李大遂)이며, 그의 처 파평 윤씨(坡平尹氏)는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외손녀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윤면(尹勉)의 딸이다. 이시진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12세 때 부친이 병석에 눕자 연약한...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사빈(士彬). 경창군(慶昌君)의 5세손이다. 이우(李堣)는 한겨울에 병든 아버지가 싱싱한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구할 수 없어 하늘에 호소하면서 얼음을 뚫은 끝에 물고기 두 마리가 뛰어 올라와 공양할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가 꿩고기를 찾자 눈 덮인 산에 올라 애를 태우자 갑자기 꿩 한 마리가 내려앉아 날지...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녀. 일춘(一春)은 관청에 소속된 종이었다. 어머니가 병들어 죽음에 이르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어머니의 입안에 흘려 넣음으로써 얼마 후에 회생하게 하였다. 이에 천한 신분임에도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여 1625년(인조 3)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부이자 열녀. 원주 이씨는 장우정(張宇井)의 아내로, 시어머니의 병이 깊어지자 밤낮으로 기도하여 낫게 하였다. 1730년(영조 6) 남편이 세상을 떠났을 때는 임신 중이라 따라 죽지 못하였는데, 아이가 유산되자 탄식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고 남편의 뒤를 따랐다. 1773년(영조 13)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정영선(鄭嶸善)은 본관이 초계(草溪)이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옷 띠를 풀지 않고 밤낮으로 곁을 지키면서 시중을 들었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3년 동안 여막에서 생활하면서 조석으로 예를 다하였다. 정영선의 효행이 널리 알려져 고종으로부터 감찰의 관직과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정선(旌善). 남편은 정진선(鄭進善)이다. 정선 전씨(旌善全氏)는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요절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고 뒤를 따랐다. 1891년(고종 28) 정려를 받았으며,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에 정려각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찾을 수 없다....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자. 조이종(趙以悰)은 현종 때의 효자로 아버지의 병환이 위중하자 단지(斷指) 수혈하여 소생시켰으나, 다시 기절하자 이번에는 누이동생이 같은 일을 하여 소생시켰다고 전한다. 두 남매의 이 같은 효성으로 1666년(현종 7) 효자, 효녀의 쌍정문(雙旌門)이 세워졌다. 1898년(고종 35)경 간행된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 조이종에 대한 상세한...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강(平康). 조선 중기의 문신인 죽촌(竹村) 채경선(蔡慶先)의 12세손이다. 채도영(蔡道榮)은 지금의 제천시 수산면 지곡리에서 살았다. 50세에 홀아비가 된 후 여러 차례 장가를 갔으나 아버지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하면 즉시 내보냈다. 아버지가 90세에 이르러 중병이 들었을 때 붕어를 먹고 싶다고 하여 안타까워하자 독수리가 큰 붕어를...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한양(漢陽). 남편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뒤 순국한 홍원(洪遠)이다. 아들로 홍여수(洪汝守)가 있다. 한양 조씨(漢陽趙氏)는 남편이 아들 홍여수와 함께 청풍의 수리봉재[鷲峰峙]에서 전사하자 며느리 전의 이씨(全義李氏)와 함께 스스로 목숨을 끊고 그 뒤를 따랐다....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진주(晉州). 남편은 황세택(黃世澤)이다. 강씨(姜氏)는 남편이 병에 걸려 반신불수가 되자 차라리 자신이 대신 앓겠다며 밤낮으로 기도하여 13년 만에 자리에서 일어나게 하였다. 얼마 후 남편이 세상을 떠난 뒤에는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어 남편의 뒤를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