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930
한자 靑龍里監牧官碑群
영어공식명칭 Cheongnyongni Gammokgwanbigun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길 14[금평리 23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56년연표보기 - 화원감목관 김여생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701년연표보기 - 화원감목관 우순필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38년연표보기 - 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48년연표보기 - 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61년연표보기 - 화원감목관 김용섭 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888년연표보기 - 화원감목관 송휘로 비 건립
현 소재지 청룡리 감목관비군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길 14[금평리 239]지도보기
성격 비|선정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 인물 김여생|우순필|변지화|김용섭|송휘로|오준신|신제극
재질 석재
크기(높이, 너비, 두께) 132㎝[화원감목관 김여생 비 높이]|61㎝[화원감목관 김여생 비 너비]|15㎝화원감목관 김여생 비 두께]|128㎝[화원감목관 우순필 비 높이]|58㎝[화원감목관 우순필 비 너비]|16㎝[화원감목관 우순필 비 두께]|118㎝[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높이]|46㎝[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너비]|10㎝[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두께]|140㎝[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높이]|51㎝[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너비]|24㎝[화원감목관 변지화 비 두께]|140㎝[화원감목관 김용섭 비 높이]|51㎝[화원감목관 김용섭 비 너비]|21㎝[화원감목관 김용섭 비 두께]|116㎝[화원감목관 송휘로 비 높이]|45㎝[화원감목관 송휘로 비 너비]|18㎝[화원감목관 송휘로 비 두께]|130㎝[화원감목관 오준신 비 높이]|60㎝[화원감목관 오준신 비 너비]|14㎝[화원감목관 오준신 비 두께]|110㎝[화원감목관 신제극 비 높이]|55㎝[화원감목관 신제극 비 너비]|14㎝[화원감목관 신제극 비 두께]
소유자 해남군
관리자 해남군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금평리에 있는 조선시대 해남 화원목장의 감목관들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8기의 비.

[개설]

청룡리 감목관비군(靑龍里監牧官碑群)해남군 화원면 금평리에 있다. 조선시대 해남 화원목장의 감목관 김여생, 우순필, 변지화, 김용섭, 송휘로, 오준신, 신제극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8기의 비를 말한다.

[건립 경위]

김여생, 우순필, 변지화, 김용섭, 송휘로, 오준신, 신제극이 조선시대 해남 화원목장의 감목관으로 재직하면서 베푼 공로를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선정비 및 영세불망비를 건립하였다. 해남 화원목장 감목관비의 건립 주체는 알 수 없다.

[위치]

청룡리 감목관비군해남군 화원면 금평리 화원노인복지회관 앞뜰에 있다.

[형태]

청룡리 감목관비군 중 화원감목관 김여생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머리에는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32㎝, 너비 61㎝, 두께 15㎝이다. 화원감목관 우순필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머리에는 운문을 장식하였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28㎝, 너비 58㎝, 두께 16㎝이다. 화원감목관 변지화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몸과 머리가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18㎝, 너비 46㎝, 두께 10㎝이다. 또 다른 화원감목관 변지화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40㎝, 너비 51㎝, 두께 24㎝이다. 화원감목관 김용섭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40㎝, 너비 51㎝, 두께 21㎝이다. 화원감목관 송휘로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비의 머리는 한옥 지붕형이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16㎝, 너비 45㎝, 두께 18㎝이다. 화원감목관 오준신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머리에는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30㎝, 너비 60㎝, 두께 14㎝이다. 화원감목관 신제극 비는 좌대 위에 비몸을 세웠으며, 머리에는 화문을 장식하였다. 비의 재질은 돌이며, 크기는 높이 110㎝, 너비 55㎝, 두께 14㎝이다.

[금석문]

화원감목관 김여생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김공여생인자청간선정비(監牧官金公麗生仁慈淸簡善政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순치십삼년 병신육월 일(順治十三年 丙申六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순치 13년은 1656년(효종 7)이므로 1656년 6월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화원감목관 우순필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우공순필청덕휼민□□□(監牧官禹公舜弼淸德恤民□□□)’이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강희사십년 신사십월일(康熙四十年 辛巳十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강희 40년은 1701년(숙종 27)이므로 1701년 10월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화원감목관 변지화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변공지화휼민선정비(監牧官卞公持華恤民善政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고 앞면 향좌측에 ‘도광십팔년 이월 일(道光十八年 二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기록이 없다. 도광 18년은 1838년(헌종 4)이므로 1838년 2월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화원감목관 변지화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변공지화영세불망비(監牧官卞公持華永世不忘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도광이십팔년 무신이월 일(道光二十八年 戊申二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도광 28년은 1848년(헌종 14)이므로 1848년 2월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화원감목관 김용섭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김공용섭영세불망비(監牧官金公鏞燮永世不忘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함풍십일년 신유구월일(咸豐十一年 辛酉九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함풍 11년은 1861년(철종 12)이므로 1861년 9월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화원감목관 송휘로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송공휘로영세불망비(監牧官宋公徽老永世不忘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광서십사년 무자사월 일(光緖十四年 戊子四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광서 14년은 1888년(고종 25)이므로 1888년 4월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화원감목관 오준신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오공준신청덕선정비(監牧官吳公俊臣淸德善政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정해십월 일(丁亥十月 日)’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으나 추정할 수 없다. 화원감목관 신제극 비는 앞면 가운데에 ‘감목관신공제극청덕선정비(監牧官申公悌克淸德善政碑)’라고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마모되어 판독이 불가하므로 건립 연대를 추정할 수 없다.

[현황]

청룡리 감목관비군은 원래 12기였으나, 현재 8기만 남아 있다. 금평리 노인복지회관 앞에 감목관비군을 조성하여 해남군에서 관리하고 있다. 비지정문화재이나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청룡리 감목관비군화원목장 감목관으로 재직한 역대 감목관들이 화원목장에서 펼친 행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감목관 변지화는 1838년과 1848년 각각 불망비가 세워졌다. 대체로 비석이 잘 보관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감목관의 불망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