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615
한자 柳希春
영어공식명칭 Ryu Huichun
이칭/별칭 인중(仁仲),미암(眉巖),문절(文節)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윤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13년연표보기 - 유희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38년 - 유희춘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47년 - 유희춘 양재역 벽서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활동 시기/일시 1565년 - 유희춘 충청도 은진으로 이배
활동 시기/일시 1567년 - 유희춘 해배
활동 시기/일시 1575년 - 유희춘 이조참판 재임 시 사직하고 낙향
몰년 시기/일시 1577년연표보기 - 유희춘 사망
유배|이배지 제주특별자치도
유배|이배지 함경북도 종성군
유배|이배지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묘소|단소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비차리
사당|배향지 충현사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사당|배향지 종산서원 - 함경북도 종성군
사당|배향지 의암서원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
사당|배향지 해촌서원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리2길 50[해리 90-2]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선산(善山)
대표 관직 전라도관찰사

[정의]

조선 전기 해남 출신의 문신.

[가계]

유희춘(柳希春)[1513~1577]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인중(仁仲), 호는 미암(眉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양수(柳陽秀)이고 할아버지는 유공담(柳公澹)이다. 아버지는 유계린(柳桂鄰)이며, 어머니는 금남(錦南) 최부(崔溥)의 딸 탐진최씨(耽津崔氏)이다. 형은 유성춘(柳成春)이다.

[활동 사항]

유희춘은 해남에서 태어나 아버지 유계린의 교육 아래 성장하였다. 김안국(金安國)과 최산두(崔山斗)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538년(중종 3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사가독서한 뒤에는 수찬·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1546년(명종 원년) 을사사화 때 김광준(金光準)·임백령(林百齡)이 윤임(尹任) 일파 제거에 협조를 요청했으나 호응하지 않았다. 1547년 양재역 벽서사건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곧 함경도 종성에 안치되었다. 1565년 충청도 은진[현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에 이배되었다가, 1567년 선조가 즉위하자 유배에서 풀려나 직강·응교·교리 등을 거쳐 지제교(知製敎)를 겸임하였다. 이어 장령·집의·사인·전한·대사성·부제학·전라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575년(선조 8) 예조·공조참판을 거쳐 이조참판을 지내다가 사직하고 낙향하였다.

유희춘은 왕명으로 경서(經書)의 구결언해(口訣諺解)에 참여해 『대학(大學)』을 완성하였고, 『논어(論語)』를 주해하다가 마치지 못한 채 1577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유희춘의 저서로는 『미암일기(眉巖日記)』, 『속몽구(續蒙求)』, 『역대요록(歷代要錄)』, 『속휘변(續諱辨)』, 『천해록(川海錄)』, 『헌근록(獻芹錄)』, 『주자어류전해(朱子語類箋解)』, 『시서석의(詩書釋義)』, 『완심도(玩心圖)』, 『강목고이(綱目考異)』 등이 있으며, 편서로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이 있다. 이 중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미암일기』는 해남에서의 생활을 비롯하여 궁중과 지방의 생활사를 자세히 기록하여 기록문학의 백미로 꼽히며, 실록의 사초로 쓰이기도 하였다. 유희춘은 외할아버지 최부의 『금남집(錦南集)』과 『표해록(漂海錄)』을 간행하는 데에도 힘을 쏟았다.

[묘소]

유희춘의 묘소는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비차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580년(선조 13) 유희춘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1609년(광해군 1) 전라북도 고창군의 충현사(忠賢祠)에 위패가 봉안되었고, 1633년(인조 11)에는 ‘문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함경북도 종성군의 종산서원(鍾山書院)에 배향되었고 1668년(현종 9)에는 담양에 있는 의암서원(義巖書院)에 배향되었다. 해남읍 해리해촌서원(海村書院)에도 모셔져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