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21
한자 海南德松里皇朝別廟
영어공식명칭 Haenam Deoksongni Hwangjobyeolmyo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덕송리 37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희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 -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 중개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3년 -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 중개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2015년 -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 기단 보수, 단청, 표석과 향로 설치
문화재 지정 일시 2003년 11월 24일연표보기 -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10호로 지정
현 소재지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 -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덕송리 378-1 지도보기
성격 별묘|사당
양식 목조 와가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광동진씨 종중
관리자 광동진씨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10호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덕송리에 1871년 건립된 명나라 진린 장군과 후손의 위패를 모신 사당과 별묘.

[개설]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海南德松里皇朝別廟)는 조선시대 정유재란 때 중국 명나라에서 조선 구원군 도독으로 왔던 진린(陳璘)[1543~1607] 장군과 아들 진구경(陳九經), 손자 진영소(陳泳素), 증손자 진석문(陳碩文)의 위패를 모시고 향사(享祀)하는 곳이다. 진린은 군선 500척을 이끌고 고금도, 금당도, 순천 왜교성전투, 노량해전 등에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장군과 왜적을 방어하였다.

[위치]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해남군 산이면 덕송리에 있다. 해남읍에서 산이면으로 가는 지방도 제806호선을 따라가다 산이면사무소를 거쳐 대진리에서 북동 방향으로 3㎞ 거리에 있는 덕송리 황조마을 안쪽에 있다.

[변천]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는 1679년(숙종 5) 진린을 모시는 단을 만들어 제향하다가 1871년(고종 8)에 별묘를 건립하였다.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는 1976년과 1983년에 중개수하였고, 2015년 기단 보수, 단청, 표석과 향로 설치 등을 하였다. 솟을삼문은 1960년 건립하였고 2003년 중건하였다.

[형태]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로 면적은 165.2㎡이다. 추녀는 활주로 받쳤으며, 솟을삼문이 있다.

[현황]

진린은 고금도에서 출정할 때 현몽한 관운장을 모시는 관왕묘를 세우기도 하였다. 관운장은 중국에서 군신으로 모셔지고 있다.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장군이 노량에서 전사하자 제문을 짓기도 하였다. 진린의 손자 진영소가 명나라가 망하자 진린의 유지에 따라 중국에서 관왕묘가 있는 고금도로 이주하였다가 해남 해리로 옮겼다. 진영소의 아들 진석문이 현재의 마을로 옮겨 살면서 명의 유민이란 뜻으로 황조동(皇朝洞)이라 하였다. 1680년(숙종 6) 단을 만들어 진린을 제향하다가 1871년(고종 8) 별묘를 건립하였다. 종도리 장여에 상량 기록이 남아 있다. 1871년[동치(同治) 10] 10월 18일에 기둥을 세우고 상량하였다는 내용이다[同治十年歲次辛未十月十八日午時竪柱上樑[卯]坐酉向]. 정면 중앙의 창방 상부에는 황조별묘(皇朝別廟)의 현판이 걸려 있다. 공포는 기둥머리에서 창방과 교차된 초익공(初翼工) 양식이다. 가구는 3량으로 기둥 상부의 초익공과 창방이 교차되어 주두와 소로가 놓이고 그 위에 대량(大樑)과 주심장여, 주심도리가 결구되는 방식이다. 겹처마로 구성되어 있고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용마루와 지붕의 좌우측단부 경사면에 내림마루를 두었다. 좌우 측면에는 풍판(風板)이 설치되어 있다. 영정은 1997년 중국 옹원현(翁源县)[웡위안현] 정부에서 그려 와 헌정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해남 덕송리 황조별묘는 조선시대 정유왜란 때 구원군으로 온 명나라 진린 장군 관련 유적으로 한중 교류사를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세워진 사당으로 상량문이 남아 있어 목조 건물의 연대를 알수 있으므로 건축사적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