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327 |
---|---|
영어공식명칭 | Korean Red Pine |
이칭/별칭 | 소나무,적송,육송,솔나무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보호수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 876-2|송지면 통호리 39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양효식 |
보호수 지정 일시 | 2017년 12월 08일![]() |
---|---|
보호수 지정 일시 | 2012년 01월 27일![]() |
소재지 | 현산면 일평리 소나무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 876-2
![]() |
소재지 | 송지면 통호리 소나무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통호리 394
![]() |
학명 |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겉씨식물문〉구과식물강〉소나무목〉소나무과 |
수령 | 120년[현산면 일평리 소나무]|300년[송지면 통호리 소나무] |
관리자 | 현산면장|송지면장 |
보호수 지정 번호 | 제15-14-4-10호[현산면 일평리 소나무]|제15-14-5-10호[송지면 통호리 소나무]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와 송지면 통호리에 있는 수령 약 120~300년의 소나무 2그루.
한반도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 주로 해발 1300m 이하에서 자란다. 솔나무·적송·육송이라고도 한다. 해송, 곰솔과 매우 유사한 수형을 가지고 있다. 사철 푸르름을 잃지 않고 ,수형이 아름다워 조경수 등으로 인기가 많은 나무이다.
높이 35m, 지름 1.8m까지 자란다. 잎은 침엽으로 2개가 속생하고 비틀리며 길이 8~9(14)㎝, 폭 1.5㎜이다. 여름에는 진록색, 겨울에는 연두색으로 되며, 밑부분에 눈껍질이 있고 2년 후 낙엽된다. 겨울눈은 적갈색으로 은백색을 띠는 해송과 구별된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며, 노목의 나무껍질은 흑갈색이고 거칠며 두껍다. 암수한그루이고, 수꽃차례는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갈색으로 길이 1㎝이며 암꽃차례는 새가지 끝에 2~3개가 돌려나기하여 달리고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6㎜이다. 구과는 달걀 모양이며, 이를 솔방울이라 한다. 길이 4.5㎝, 지름 3㎝로 황갈색이고 씨앗바늘은 70~100개이다. 종자는 타원형이며 날개가 있고 길이 5~6㎜, 폭 3㎜ 정도이다. 각 씨앗바늘에 2개씩 있으며, 흑갈색이고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흔히 흑갈색 줄이 있다. 다음해 9월에 성숙한다.
수형이 부정형으로 아름다워 동양식 정원의 관상수로 이용된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토공용재, 펄프재로 쓰이고 예전에는 관재로 숭상되었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보호수로 지정된 소나무는 현산면과 송지면에 분포하며 총 2곳, 2그루가 있다. 현산면 일평리 876-2에 있는 보호수 1본은 지정 번호 제15-14-4-10호로 2017년 12월 8일 지정된 수령 120년의 소나무이다. 송지면 통호리 394에 있는 보호수 1본은 지정 번호 제15-14-5-10호로 2012년 1월 27일 지정된 수령 300년의 소나무이다. 생육 상태는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