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268
한자 漁城橋
영어공식명칭 Eoseonggyo Brd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변남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933년연표보기 - 어성교 개통
비정 지역 어성교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 지도보기
성격 고지명
관련 문헌 『해동지도(海東地圖)』|『대동지지(大東地志)』|『해남읍지』[1872]|『해남군지』[1925]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에 있었던 다리.

[명칭 유래]

어성교 지명은 대둔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어성천에서 유래한다.

[형성 및 변천]

현재의 어성교는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해남읍에서 화산면현산면을 왕래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해동지도(海東地圖)』 등을 보면 어성교가 그려져 있다. 당시의 어성교어성천의 하류에 석교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삼산면 원진리와 옹암마을 사이에 있었다. 어성포는 어성교의 서쪽에 있었다. 『해남읍지』[1872] 등에서 어성포는 “현 남쪽 10리에 있는데, 진도의 경계와 통한다.”라고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는 “삼촌포의 다음[三寸浦之次]”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 어성교의 중수비가 송정마을 창고 앞에 있다.

[관련 기록]

어성교(漁城橋)어성천[지금의 삼산천]의 하류에 있었던 옛 다리이다. 해남읍에서 어성교를 건너면 남쪽의 화산면, 현산면, 송지면 등에 이르렀다. 어성교는 진도에 속하였던 삼촌면의 경계에 있었다. 또 어성천의 민물과 바닷물이 합류한 지점에 있어 고기가 잘 잡혔으며 특히 민물장어 산지로 유명하였다. 1925년에 펴낸 『해남군지』에서는 “어성교는 8칸이다. 군에서 남쪽으로 20리[약 7.85㎞] 거리에 있다. 어성천도 군의 남쪽 20리에 있다. 대둔산에서 발원하여 굽이굽이 10여 리[약 3.93㎞]를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석천 임억령의 시에 ‘어성천 좋은 물은 대둔산에서 나오고 운운’이라고 하였다.”라고 기록되었다.

『해남군지』[1925]에 따르면, “어성교는 8칸이다. 그 길이는 85m이다.”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