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267 |
---|---|
한자 | 南倉橋 |
영어공식명칭 | Namchanggyo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변남주 |
준공 시기/일시 | 1927년![]()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65년 - 2차 남창교 증설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99년 - 3차 남창교 증설 |
전구간 | 남창교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달도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남창교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 |
성격 | 교량 |
길이 | 100m |
차선 | 왕복 4차선 |
폭 | 25m |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에서 완도군 원동리 달도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남창교(南倉橋)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와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달도 사이를 잇는 다리로, 3차에 걸쳐 별도로 건설되었다. 1차는 1927년 무렵 건설되었고, 2차는 1965년 광복 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바다를 연결하는 연륙교로 건설되었다. 3차는 1999년에 준공되어 국도 제13호선을 연결하였다.
남창리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교량 길이는 100m에 폭 25m인 왕복 4차선 교량으로 높이는 7m이다. 교량의 경간수는 4개이고, 최대 경간장(徑間長)[건축물, 구조물, 교량 따위에서 지주 교각과 지주 교각 사이의 길이]은 25m이다. 교량의 상부 구조는 PSC I형교이고, 하부 구조는 T형 교각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이다.
남창교는 해남군과 완도군 달도를 왕래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남창교는 일제강점기인 1927년 남창교 개량 공사 도면에 의하여 건설되었다. 2차 남창교는 1963년 4월 착공하여 1965년에 연륙교로 개통되었다. 남창교는 광복 이후 처음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건설된 다리다. 2차 남창교 연장은 138m였으며, 그 당시에는 완도교라 불렀다. 3차 남창교는 1999년에 준공되었다.
3차 남창교는 1999년에 준공되어 완도군을 왕래하는 교량으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