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1391
한자 閔斗基
영어공식명칭 Min Dugi
이칭/별칭 산남(山南)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동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2년 11월 02일연표보기 - 민두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51년 - 민두기 광주서중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55년 - 민두기 서울대학교 사학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민두기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임용
활동 시기/일시 1973년 - 민두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취득
활동 시기/일시 1978년 - 민두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임용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민두기 동양사학회 회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98년 - 민두기 서울대학교 정년퇴임
몰년 시기/일시 2000년 05월 07일연표보기 - 민두기 사망
출생지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백야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서울특별시
수학|강학지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둥숭동
외가|처가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당산리 지도보기
성격 학자|교육자
성별
본관 여흥(驪興)
대표 관직|경력 서울대학교 교수|동양사학회 회장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출신의 역사학자.

[활동 사항]

민두기(閔斗基)[1932~2000]는 1932년 11월 2일 해남읍 백야리에서 태어났다. 1939년 해남읍 해리에 있는 심상소학교를 졸업한 후 1945년 광주서중학교에 입학하여 1951년 졸업하였다. 1955년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염철론(鹽鐵論)』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3년 『청대신사층(淸代紳士層)의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78년부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근무하다가 1998년 정년퇴임하였다. 1983년부터 1985년까지 동양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민두기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연구교수와 객원연구원,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연구원, 중국 남경대학교 민국사연구중심 객좌교수 등 해외에서의 연구 활동도 활발히 진행하였다. 1998년 정년퇴임 후에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석좌교수직을 맡아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2000년 5월 7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민두기는 중국의 고대사는 물론 청대사, 중국 근대사, 중국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연구 활동을 펼치면서 한국의 중국사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석학으로 평가되고 있다. “동양사학의 총통”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중국 근대사 연구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의 권위자로 손꼽히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강좌중국사』[전 7권, 1989]를 들 수 있다. 민두기와 제자들이 각 주제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를 정리한 내용으로 중국사 개설서로 불린다. 이 외에 『중국 근대사 연구: 신사층의 사상과 행동』, 『중국의 전통과 근대』, 『중국 근대 개혁 운동의 연구』, 『중국 국민 혁명의 분석적 연구』, 『중국 국민 혁명 지도자의 사상과 행동』, 『신해혁명사: 중국의 공화 혁명』, 『중국에서의 자유주의의 실험: 호적의 사상과 행동』, 『중국 초기 혁명 운동의 연구』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민두기는 1986년 출판문화상 저작상, 1988년 학술원상 저작상, 1992년 금호학술상, 1994년 중앙일보학술상을 받았다. 민두기는 2001년 목포대학교 도서관에 단행본 9,700여 권, 논문 자료 2,000여 건, 유물 약 100여 점을 기증하였으며, 목포대학교는 민두기의 장서와 학문적 업적, 성과물 및 유물을 전시한 ‘민두기기념문고’를 설치하였다. 목포대학교에서는 민두기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01년 5월부터 민두기기념문고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여 2018년 현재 제17회 학술세미나가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1.05.20 본관 수정 여흥 민씨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