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살랭이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1326
영어공식명칭 Sallaengi Song
이칭/별칭 살랭이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 「살랭이노래」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에 수록
가창권역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성격 유희요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숫자가 새겨진 엽전으로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개설]

살랭이놀이는 상평통보(常平通寶) 같은 옛날 동전 뒤에 새겨진 숫자로 서로 잡고 잡히는 민속놀이이다. 살랭이놀이는 음영식(吟詠式)의 「살랭이노래」를 통해 놀이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1부터 10까지 동전의 숫자가 암시하는 노래를 부르면서 놀이를 진행하는데, 노랫말에 한자어가 많이 들어 있다.

[채록/수집 상황]

「살랭이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31~532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는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구성 및 형식]

살랭이놀이는 놀이꾼 세 사람과 패를 잡는 꼬쟁이 한 사람이 행하는 놀이이다. 선에 해당하는 사람은 자신이 내놓는 동전의 숫자가 암시하는 노래를 부르는데, 함께 놀이를 하는 두 사람이 노래를 받아친다. 엽전의 숫자에 따라 노래가 다르게 불린다.

[내용]

[일자(一字) 노래]

일년난득(一年難得) 재봉춘(再逢春)/ 한 일에 기는 곤장쇠/ 일촌광음(一寸光陰) 가벼이 마라/ 얼어나 방(房)씨러라/ 투선 손님 들어간다/ 일벽만경(一碧萬頃) 넓은 바다/ 임이 가는 뱃길일세/ 일수투전은 한돈 반(半)이라/ 일당백(一當百)이 요 내 아들/ 어디 갔다 이제 오나/ 일액이 총총행자목/ 우리 딸 이름은 일선금/ 일자(一字) 한자 좀 들어 보니/ 일월(日月)이 송송 하송송/ 일(一)하송송 하송송/ 밤중 샛별이 떳다

[이자(二字) 노래]

이월(二月)이 둘이면 윤 이월/ 이월 바람은 줄바람/ 두만강(豆滿江) 건너 백자촌(白子村)/ 이(李)팔장 회동대신(大臣)/ 이등서 북치니/ 숲 주기생(州技生) 발림을 한다/ 우리 배 북채는 쌍북채/ 이월 꽃보다 붉은 단풍/ 두비 탄탄 넓은 길에/ 님도 가고 나도 간다/ 이팔청춘(二八靑春) 좋은 때다

[삼자(三字) 노래]

삼국풍진(三國風塵) 조자룡(趙子龍)/ 삼월동풍(三月東風) 해당화(海棠花)/ 삼월야(三月夜) 밝은 달이/ 임이 창전(窓前)에 비치네/ 삼돌벗똘 수심(愁心)똘/ 삼년정기(三年精氣) 관사솔/ 삼복성염(三伏盛炎)에 일하는 신세/ 삼각산하(三角山下) 갈매기 떼/ 삼인행로(三人行路)에 필유아사(必有我師)/ 삼야진동 싸장사야/ 닭 운다고 서러워 마라/ 삼하용장(三河勇將) 김응서(金應瑞)라

[사자(四字) 노래]

사월남풍(四月南風)은 대맥황(大麥黃)/ 사얘기 주막(酒幕)에 방(房) 촛대/ 사람 몰래 돌 몰래/ 넙덕지 큰 년 재잡년/ 사(四)덕 충신(忠臣) 물 길어라/ 동작강(江)이 말라진다/ 세벽 세자(世子) 난데없고/ 공가(孔家) 집에 정승(政承) 난 일 없다/ 사면초가(四面楚家) 항우신세(項羽身勢)

[오자(五字) 노래]

오동추야(秋夜) 달 밝은데/ 오매불망 우리 님이/ 보고 싶어 못 살겠네/ 오고 가고는 지 행실(行實)이라/ 오판참장 관운장(關雲長)/ 요 야밤중 순래꾼/ 오월강남(五月江南) 초가 객(客)/ 오초동남(五楚東南) 먼먼 길을/ 나도 가고 너도 가자/ 조(鳥)초 백마(白馬) 절도사(節度使)/ 조야천리(鳥夜千里)에 님과 이별(離別)이로구나/ 오월망(五月網)건은 닷 척(斤)짜리

[육자(六字) 노래]

유기 한 짐 동 백양(百兩)/ 육육봉화운봉(六六烽火連峯) 건너 봉(峯)이라/ 유월(六月)이 둘이면 윤 유월이라/ 유기 진 놈 병영(兵營) 놈/ 육국노설(六國盧說) 소(蘇)진장/ 육지관지 별관지/ 갓 쓴 팔자(八字) 양반팔자(兩班八字)/ 육지간지 별간지는/ 편지 쓰기 좋은 자(字)라

[칠자(七字) 노래]

칠(七)종칠(七)급 재갈량/ 칠떡칠떡 말꽁치/ 칠량(七良)장 때 우는 통대구/ 칠성전(七星殿)은 무언(無言) 옹전(殿)/ 여산전주(勵山全州)는 남방칠십리(南方七十里)/ 이 칠(七) 저 칠(七) 가상칠(加上七)/ 대문(大門)짝에는 백토(白土)칠/ 칠년대한(七年大旱)에 성군(聖君) 탁/ 칠월칠(七月七)은 견우 직녀의 상봉(相奉) 날/ 칠내머리 봉비녀 얹고 보니 호강이라

[팔자(八字) 노래]

팔자(八字) 설음 생남자(生男子)/ 팔봉산(八奉山) 자양엄(紫兩庵)/ 정대부댁(鄭大夫宅) 피난처(避難l處)/ 팔딱 뛰는 민물고기/ 팔자쌍미(八字雙眉) 춘향춘(春香春)이는/ 일시형옥(一時刑獄) 가소(可笑)롭다/ 팔(八)장기(旗)에 북을 치니/ 전주기생(全州妓生) 발립 난다/ 팔악지 깎아 돛 잘아라/ 풍세(風勢) 사나 못 가겠다/ 팔레 봇짐에 유선객(遊仙客)이로고나

[구자(九字) 노래]

구(九)국수 맺인 한(恨)을/ 구과(九果) 울에 씻어 볼까/ 구월강산(九月江山)에 갈퀴질/ 귀 크고 늙은 중 소당불에 염불(念佛)한다/ 구곡강산(九曲江山) 썩은 눈물은/ 눈 위로 솟아나고/ 구추아월(九秋雅月) 깊은 밤에/ 님의 생각(生覺) 간절하다/ 구세동거(九世同居)는 장공예로구나

[십자(十字)노래]

십년망절(十年忘節) 한(韓)소문/ 장안장사(長安將帥) 임경업(林慶業)/ 장한림(張翰林) 잡든 왕선생(王先生)/ 장에 갔다 오시는 님/ 시끌덤벙 요란하다/ 장탉이 푸두덕 아산(牙山) 놈/ 장흥보성(長興寶城)은 흥덕원(興德院)/ 장림(長霖) 수풀에 범이 든다/ 장태거리는 조도(鳥島)네 집이로구나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살랭이놀이는 내기 놀이지만 화투나 투전, 마작 등과는 달리 도박성보다는 유희성이 강하다. 「살랭이노래」를 통해 놀이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상평통보(常平通寶) 27개와 목침, 팔에 끼는 ‘토시’가 놀이 재료로 필요하다. 상평통보 배면에 새겨진 숫자 1부터 7까지는 세 닢, 8, 9, 10자는 각각 두 닢으로 하여 모두 엽전 두 돈 칠 푼[27]을 가지고 놀이를 진행한다. 노름꾼 세 사람과 꼬쟁이 한 사람이 참여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은 ‘찔림’을 할 수 있다. 방법으로는 목침을 중앙에 놓고 늘어앉으면 꼬쟁이[패 잡는 사람]가 돈을 잘 섞어 나누어 주되, 처음에는 1자, 2자, 3자를 골라 엎어 놓고 각각 한 개를 집게 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다시 돈을 거두어 잘 흔든 다음에 가장 낮은 1자순으로 꼬쟁이가 세 매씩 나누어 주면 각 참여자는 자기 패의 숫자를 확인한다. 선집[제일 먼저 패를 받은 사람]부터 엽전을 목침에 내려치면서 노래를 한다. 회수를 반복할 때마다 각각 과정에 알맞은 노래를 부른다.

[현황]

살랭이놀이는 1980년대까지는 전승되었다고 하나 현재는 거의 전승되지 않는다. 살랭이놀이와 함께 부르던 「살랭이노래」도 지금은 일반인에게서 듣기 어려운 노래이다.

[의의와 평가]

살랭이놀이는 도박의 일종이지만, 도박보다는 유희성이 강하다. 살랭이놀이를 할 때 부르는 「살랭이노래」는 해학적이면서도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