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둥게야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1322
영어공식명칭 Dunggeya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 「둥게야노래」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7쪽에 수록
가창권역 전라남도 해남군
성격 민요|유희요|애정요
기능 구분 유희요|애정요
형식 구분 독창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에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이자 애정요.

[개설]

「둥게야노래」는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놀이를 할 때 부르던 유희요이자 남녀 사이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요이다. 아이를 어르거나 달랠 때 부르는 「둥게소리」와 달리 해남 지역에서 전해 오는 「둥게야노래」는 유희요로 널리 불리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둥게야노래」는 1980년 해남군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해남군사』 527쪽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시기와 장소, 제보자 등은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다.

[구성 및 형식]

「둥게야노래」는 해남 지역에서 주로 놀이를 할 때 유희요로 널리 불렸으며, 독창으로도 불렀다.

[내용]

샛길로 가다가/ 엽전 하나를 줏어서/ 떡 사묵기도 아깝고/ 엿 사묵기도 아깝고/ 이거리 저거리 갓거리/ 천장에 만장에 개거리/ 이리나 가도 내 사령/ 저리나 가도 내 사령/ 영감의 상투는 사무갠개/ 호박에 종국에 뒈져라/ 꿍꿍에 전라두/ 새가 날랐다 강남으로/ 돋한다 봉한다 뜬떼들이/ 여믄 꽃이 엳닷마/ 낼 온다 낼 온다/ 새가 한 마리 낼 온다/ 새 중에는 봉황새/ 단풍으로 떨었다 쥐 잡아 놨다/ 거마리 장차 제비야/ 오다 가다 첫집이/ 만경 구름이 지 자빠지면/ 자작이 폴폴 일어난다 둥 둥게가 둥게야/ 둥게나 마치 꽃 가리/ 청산 읍내 배 차지/ 바그대 바그대 봄카지/ 늙으나 열발 넝가지/ 둬 뒤아라 섬도 능사야/ 만사 천사가 꽁사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둥게야노래」는 놀이를 행할 때 주로 부르던 노래로 여겨진다.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가사를 담고 있지만, ‘다리 세기’ 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의 가사도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놀이 상황에 맞는 다양한 가사를 넣어 부른 것으로 여겨진다.

[현황]

「둥게야노래」는 놀이를 할 때 불렀던 유희요인데, 지금은 아이들이 모여 함께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경우가 드물다.

[의의와 평가]

「둥게소리」는 아이를 어르거나 달랠 때, 혹은 아이와 놀이를 할 때 주로 부르는 노래이다. 하지만 해남 지역에서 전하는 「둥게야노래」는 ‘다리 세기’ 등의 놀이에서 응용할 수 있는 유희요이면서도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애정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