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725
한자 千德云
영어공식명칭 Cheon Deoku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최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3년 04월 19일연표보기 - 천덕운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1년 3월 - 천덕운 해남공립농업실수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33년 - 천덕운 전남운동협의회 활동
몰년 시기/일시 1970년 12월 04일연표보기 - 천덕운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2년연표보기 - 천덕운 대통령표창 수훈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천덕운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출생지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해남공립농업실수학교 - 전라남도 해남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 제2-1018호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3]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1933년 전남운동협의회 활동

[정의]

일제강점기 해남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천덕운(千德云)[1913~1970]은 1913년 4월 19일 해남군 현산면 일평리에서 태어났다. 전남운동협의회(全南運動協議會)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활동 사항]

천덕운은 1931년 3월 해남공립농업실수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1933년 전남운동협의회에 가입하였다. 전남운동협의회는 혁명적 농민조합을 결성하여 계급의식을 고취하고 지역 전위 정치조직의 기반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된 항일 단체였다. 해남 출신 김홍배, 완도 출신 황동윤 등이 각자 자기 지역에서 활동하다가 농민운동을 중심으로 한 대중운동 지도 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결성된 후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전남운동협의회는 사무부(事務部)·조직부(組織部)·조사부(調査部)·구원부(救援部) 등의 조직을 갖추고, 기관지인 『농민투쟁(農民鬪爭)』을 발간하였다.

천덕운은 1933년 2월 천석출(千石出) 등의 동지들과 함께 청년반을 결성하여 활동하였고, 농민들의 소작료 감면을 요구하는 소작쟁의를 주도하였다. 이러한 활동 과정에서 전남운동협의회의 존재가 일본 경찰에 노출되었고, 천덕운은 동지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1936년 12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천덕운은 1970년 12월 4일 사망하였다.

[묘소]

천덕운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3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 제2-1018호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천덕운의 공적을 기려 1982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해남군지』상(해남군지편찬위원회, 2015)
  • 『해남군지』하(해남군지편찬위원회, 2015)
  • 「판결문」(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 1936. 12. 28.)
  •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